트럼프, 인도에 50% 관세 부과…경제적 압박에 인도 분노

[email protected]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인도의 러시아산 석유 수입을 이유로 대미 관세를 25%에서 50%로 인상한다고 발표함에 따라 인도 내에서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결정은 인도 정부의 통상 정책에 심각한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보석, 직물, 신발, 농산물과 같은 노동 집약적 산업이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7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인도 야당인 인도국민회의(INC)의 라훌 간디 전 대표는 이 뉴스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의 50% 관세는 경제적 협박”이라며 강력히 반발했다. 그는 트위터(X)에 “인도에 불공정한 무역 협정을 강요하려는 시도”라고 주장하며,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인도 국민의 이익을 지키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가 지난주 러시아산 석유를 대량으로 구매한 사실을 들어 관세 인상을 강행했다고 밝혔으며, 이는 21일 이내에 시행될 예정이다. 인도에 부과되는 관세는 기존의 25%에 추가로 이번에 시행되는 25%가 더해져 총 50%에 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인도 내에서 미국산 제품에 대한 보복 관세를 부과하자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으며, 샤시 타루르 정치인은 이제 인도가 미국 중심의 수출 시장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번 조치로 인해 인도의 대미 수출은 큰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지난해 인도는 미국과의 무역에서 460억 달러의 적자를 기록했으며, 블룸버그의 보고서에 따르면 기존 25%의 관세만으로도 인도의 대미 수출이 30%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추가된 25% 관세는 이 수출 감소를 60%로 확대하고, 국내총생산(GDP)의 손실도 0.9%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은 지난 4월 인도에 26%의 상호관세를 부과한 이후 다양한 무역 협상을 진행했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한 상태다. 특히 미국이 농산물 및 유제품에 부과한 관세를 인하하는 문제를 둘러싸고 양국 간의 이견이 존재하며, 이에 따라 협상은 교착 상태에 빠졌다.

이와 같은 경제적 충격은 결국 인도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며, 인도 정부는 이러한 상황에 대해 점검을 추진해야 할 시점에 놓여 있다. 또한, 인도 내 정치적으로도 이러한 외부 압박을 어떻게 대처할지가 중요한 과제로 남게 되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