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메이드가 올해 2분기 실적에서 연결 기준 영업손실이 285억 원으로 집계되며, 전년 동기 대비 적자폭이 소폭 증가했다. 매출은 1,168억 원으로 작년보다 31.8% 감소한 수치로, 이는 신작 게임이 기대에 미치지 못한 결과로 분석된다. 특히 블록체인 게임 부문에서의 매출이 266억 원으로 전년보다 72% 급감한 것이 큰 영향을 미쳤다.
위메이드가 주력해온 블록체인 게임 시장에서는 과거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높은 수익을 기록했으나, 올해에는 기존 비블록체인 게임이 오히려 성장을 이어가며 23% 증가해 881억 원을 기록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은 전통 게임 중심으로 매출 구조가 돌아서게 만든 요인 중 하나로 지적된다.
부문별 실적을 살펴보면, 모바일 게임 매출은 1,017억 원으로 전년보다 35% 줄어든 반면, PC 온라인 게임은 131억 원의 매출을 올리며 41% 증가율을 보였다. 다만 블록체인 게임의 주력 타이틀인 ‘미르4’와 ‘나이트 크로우’ 또한 여러 지역에서 매출 감소를 피하지 못한 상황이다. 전체 영업비용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계열사에서 발생한 일회성 비용과 마케팅 지출이 고정적으로 이어지던 상황 속에서는 수익성 방어에 한계가 있었다.
위메이드는 하반기 실적 회복을 위해 ‘미르M’의 중국 출시와 블록체인을 활용한 ‘레전드 오브 이미르’의 글로벌 출시를 계획하고 있으며, ‘미드나잇 워커스’, ‘롬: 골든 에이지’ 등 신작 게임으로 시장 확대를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신작 라인업에도 불구하고 소비자 반응 및 시장 변동에 따라 성과가 유동적일 수 있는 요소가 존재한다.
뿐만 아니라 위메이드는 스테이블코인 사업에도 진출할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이를 통해 게임 외 다른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꾀하고 있다. 자회사 중심이 아닌 민간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하는 방식을 택하여, 올해 안으로 스테이블코인 테스트망을 구축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위메이드가 블록체인 시장의 재조정 과정에서 어떻게 사업 전략을 조율할지가 중요한 관전 포인트일 것이다.
결론적으로, 지난 2분기 실적의 부진은 블록체인 게임 매출의 급감과 전통 게임 부문의 상대적 성장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하반기 글로벌 시장 반응과 블록체인 생태계 진입 전략이 향후 위메이드의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