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올해 7월 중순 사상 최고가인 12만 3,000달러(약 1억 7,097만 원)에 도달한 이후, 최근 11만 8,000달러(약 1억 6,402만 원) 선을 유지하며 상승 세가 일부 둔화되고 있다. 비트코인 가격은 여전히 강세 흐름을 보이고 있지만, 주요 시장 지표들은 상승 모멘텀의 둔화 징후를 나타내고 있다.
크립토퀀트(CryptoQuant)가 제시한 ‘불 스코어 인덱스(Bull Score Index)’는 최근 80에서 60으로 하락하며, 이는 투자자 심리와 시장의 전반적인 강세 흐름을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로 작용한다. 이번 하락은 시장이 여전히 낙관적인 기류를 보이지만, 단기적인 과열을 해소하는 조정 국면에 접어들었음을 시사하는 요소로 분석된다.
이러한 변화는 여름철 전통적인 거래량 감소 흐름과 시기적으로 맞물린다. 크립토퀀트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상승 랠리 이후 많은 투자자들이 차익을 실현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즉각적인 매수세가 약화되고 있음을 명시했다.
스테이블코인 유동성도 명백한 둔화를 보이고 있다. 신규 자금 유입의 지표로 간주되는 이 데이터는 최근 몇 주간 순유입이 정체되거나 역전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실제로 지난 60일 동안 테더(USDT)의 유동성은 96억 달러(약 13조 3,440억 원) 증가했지만, 증가율은 과거 평균 수준 아래로 하락한 상태다. 이는 자금이 유입되고 있지만, 시장 전체의 매수 압력이 예전보다 약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냉각 신호로 지목되는 미실현 수익률 하락도 주목할 만하다. 현재 이 지표는 약 7.4%로 떨어진 상태이며, 이는 많은 투자자들이 최근 고점에서 수익을 실현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현상은 남아 있는 상승 여력이 크지 않다는 경고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비트코인 가격의 향방에 영향을 미치는 ‘불-베어 마켓 사이클 지표(Bull-Bear Market Cycle Indicator)’는 긍정적인 영역을 경계하고 있다. 이 지표가 0 이하로 떨어질 경우, 불 스코어 인덱스도 40 이하로 급락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지난 2023년 4월 이후 첫 번째 명확한 약세장 전환을 나타낼 수 있다.
전문가들은 현재 비트코인이 추세를 완전히 전환한 것은 아니며, 단기적인 조정 또는 횡보 국면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하고 있다. 특히 추가적인 상승을 견인할 신호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 한, 투자자들은 신중한 접근을 지속해야 할 시간이라는 의견이 우세하다. 또한, 만약 거시경제 이슈나 정책 변화가 새롭게 등장하게 될 경우, 비트코인이 다시 강세장으로 전환될 수 있는 가능성도 열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