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재임 시절 금의 강력한 지지자로 알려진 피터 시프(Peter Schiff)가 비트코인(BTC)의 급등세에 대해 다시 한 번 강한 비판을 내놓았다. 최근 비트코인 가격이 12만 2,000달러(약 1억 6,958만 원)에 근접하자, 시프는 이를 “역사상 가장 큰 투자 사기”로 지목하며 시장의 환호 속에서도 회의론자의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그는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역대 최대의 투자 사기에 빠져들고 있다”며, 비트코인 가격 상승이 근본적인 가치보다는 투기 열기에 의해 부풀려진 현상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그는 이번 가격 급등을 “새로운 참여자 유입에 기반한 자산 파동”이라고 지적하며, 버블의 붕괴 가능성에 대한 경고를 아끼지 않았다.
비트코인은 최근 또 한 번 상승세를 기록하며, 12만 1,000달러(약 1억 6,819만 원)까지 올랐다. 이로 인해 시장의 기대감은 한층 고조되고 있으며, 일부 기술적 분석가들은 가격이 12만 5,000달러(약 1억 7,375만 원)를 넘어설 경우 역사적인 신고가를 경신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하지만 시프와 다른 전문가들은 이러한 낙관적인 전망이 지나치게 단기적인 시각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특히 시프는 현재의 비트코인 생태계가 2008년 금융위기 당시의 구조적 취약성과 유사하다고 분석하고 있다. 당시 은행들이 파생상품에 지나치게 의존해 유동성이 부족해졌던 것처럼, 현재의 비트코인, ETF 그리고 상장기업들이 시장 구조를 왜곡할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그는 “비트코인 관련 대기업이 주가 급락을 경험하게 된다면, BTC 가격과 관련 주식, 기업 매수세 모두 동시에 하락하면서 도미노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최근 기업들이 비트코인을 자산으로 인식하고, ETF를 통해 비트코인을 간접적으로 보유하는 경향이 늘고 있다. 이는 비트코인의 시가총액과 유통 수요에 구조적 변화를 초래하지만, 동시에 하락장 시 리스크 전이 경로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분석도 불러일으키고 있다.
비록 시장의 분위기가 여전히 열광적이지만, 피터 시프가 제기한 질문처럼 ‘투자의 본질’을 되묻는 시각도 필요하다. 비트코인이 과연 내재가치에 기반한 자산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아니면 가까운 시일 안에 신뢰의 시험대에 오르게 될지는 여전히 뜨거운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