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르다노(ADA) 투자자들 사이에서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최근 1시간 이내의 가격 급락으로 인해 무려 3,598%에 달하는 청산 불균형이 발생하며, 강세장이 흔들릴 가능성이 커졌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건이 에이다 생태계에서 더욱 심화된 변동성을 나타내는 신호로 해석하고 있다.
시장 분석 플랫폼인 코인글래스(CoinGlass)에 따르면, 에이다의 단기 상승세를 기대하며 롱 포지션에 투자한 이들이 약 13만 2,030달러(한화 약 1억 8,355만 원)의 손실을 입었다. 에이다 가격은 일시적으로 0.80달러(약 1,112원)까지 반등했지만, 상승 모멘텀을 유지하지 못하고 0.7678달러(약 1,067원)로 급락하면서 지지선 형성에 실패했다.
현재 에이다의 거래가는 0.7905달러(약 1,099원)로, 24시간 기준으로 0.2% 소폭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일일 거래량은 1.21억 달러(약 1,681억 원)로 전날보다 1.34% 증가했지만, 여전히 강세론자들의 기대에는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이러한 혼조세는 단기적인 기술적 이슈만이 아닌, 금융 시장 전반의 불안정성과 관련이 깊다.
특히,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앞두고 시장 참가자들이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일부 전문가들은 CPI 수치가 2.8%를 초과할 경우 미 연준의 금리 인하가 지연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전반적인 암호화폐 시장에도 압박이 가해지고 있다. 숏 포지션 투자자들도 3,570달러(약 497만 원)의 손실을 기록하고 있지만, 롱 포지션 투자자에 비해 피해 규모는 상대적으로 작다.
청산 불균형이 강세 방향으로 쏠려 있다는 점에서는 현재 시장 상황이 펀더멘털보다는 투기적 성격이 강하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그러나 일부 분석가들은 여전히 에이다가 회복할 가능성에 기대를 품고 있다. 최근 에이다의 기술 지표에서는 ‘골든 크로스’ 패턴이 포착돼 모멘텀 전환의 계기로 주목받고 있으며, 많은 투자자들이 에이다의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1달러(약 1,390원)를 돌파했던 시점은 지난 3월 초였으며, 당시에는 기관 중심의 전략적 유동성 공급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현재 에이다 커뮤니티 내에서는 신규 유입 이용자 증가와 함께 강세 기반이 재구축될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