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채굴 platform 해시플레어(HashFlare)의 공동 창립자인 세르게이 포타펜코와 이반 투로긴이 약 7,730억 원에 달하는 폰지 사기 혐의에 대해 유죄를 인정한 후 형 집행 유예로 석방됐다. 이들은 체포된 후 16개월간 에스토니아와 미국에서 구금된 기간을 인정받아 시애틀 연방법원에서 형 집행 유예 판결을 받았다. 재판에서 로버트 라스닉 판사는 그들에게 각각 2만 5,000달러의 벌금과 360시간의 사회봉사를 명령했다. 이 사회봉사는 고국인 에스토니아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미국 법무부는 이 판결에 대해 항소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법무부는 두 인물에게 최대 10년의 징역형을 요청했지만, 법원에서 내려진 비교적 온건한 형량에 불만을 표했다. 포타펜코와 투로긴 측은 이미 감옥에서의 구금 기간이 상당한 대가라며, 시복형만으로 일단 형을 마무리할 것을 요청했다.
이들은 2022년 11월 에스토니아에서 체포되었으며, 2024년 5월에는 미국에 송환되어 사기 공모 혐의를 인정했다. 이번 사건은 시애틀 연방검찰이 다룬 최대 규모의 금융사기로 평가받고 있다. 이들은 2015년부터 2019년까지 고객을 속여 약 5억 7,700만 달러를 모은 뒤, 신규 투자자의 자금을 돌려주며 전형적인 폰지 사기 구조를 구현했다.
검찰은 이들이 총 44만 명의 투자자에게 피해를 입혔으나, 피고 측은 고객 손실이 제한적이라고 반박했다. 실제로 해시플레어에 투자한 약 39만 명의 고객은 총 4억 8,700만 달러를 소비했으며, 이후 23억 달러를 회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또 이들이 수십억 원을 호화 사치에 사용했다고 주장하며, 부동산, 비트코인, 고급 자동차, 여행 비용 등으로 개인 자산을 확보했다고 비판했다.
테일 루시 밀러 미 법무차관 대행은 이번 사건을 “화려한 암호화폐 채굴 허황된 환상을 악용한 고전적인 폰지 사기”로 규탄했다. 과거에 검찰은 이들의 자산 가운데 4억 달러 이상을 몰수한 만큼, 재판부의 판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들이 자진 출국 명령을 받으면서 향후 신병 처리에 혼선이 생겼지만, 변호인단은 이들이 귀국 의사를 여러 차례 밝혔다고 강조했다. 앞으로 두 창립자는 에스토니아로 송환된 후 유예 기간 중 감독 하에 사회봉사를 수행해야 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