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 기관 수요 127% 증가…알트코인 시장 재편 주도

[email protected]



이더리움(ETH)의 기관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며 7월 글로벌 알트코인 시장의 자본 이동을 이끌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최근 바이낸스 리서치의 보고서에 따르면, 이더리움을 보유하는 기업 수가 현저히 증가했으며, 기업들이 보유한 총 이더리움 물량 역시 급증했다. 이번 변화는 투자자 및 기관들이 비트코인(BTC) 중심의 투자에서 점차 알트코인으로 관심을 이동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비트코인은 7월 한 달 간 최고 12만 3,000달러(약 1억 7,097만 원)를 기록하며 여전히 시장의 중심적 자산으로 자리 잡았지만, 이 시기에 비트코인의 시장 점유율은 60.6%로 5.2%p 하락했다. 반면 알트코인에 대한 점유율은 39.2%로 급등하여 연중 최대 상승폭을 보였다. 이러한 변화 배경에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기대감, 거시경제의 안정 기조와 시장 불확실성이 감소한 긍정적 환경이 크게 작용했다.

이더리움의 기업 보유량은 127.7% 증가하여 270만 ETH를 넘어섰으며, 이는 미국에서 상장된 이더리움 ETF 보유량의 절반에 해당하는 수치다. 7월 동안 24개의 기업이 ETH를 자산으로 편입했으며, 이들 대부분은 ETF 대신 직접 보유를 선택했다. 전문가들은 이더리움의 스테이킹 보상과 디플레이션 구조가 기업에 더 매력적인 요소로 작용했다고 분석하고 있다.

더불어 XRP, 수이(SUI), 에이다(ADA), 도지코인(DOGE), 바이낸스코인(BNB) 등 다른 주요 알트코인들도 생태계의 발전 및 디파이(DeFi)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상승세를 보였다. 이는 단순히 자산을 보유하는 것을 넘어 유틸리티 측면에서도 활용 가능한 투자처로 인식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미국 의회는 7월 17일에 GENIUS 법안을 통과시키며 완전 담보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위한 연방 차원의 규제 틀을 마련했다. 이로 인해 제이피모건, 씨티그룹, 비자 등 전통 금융기관들은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한 예금 토큰 실험 및 결제 시스템 확장에 돌입했다. 실제로 온체인 기반 스테이블코인 결제 처리량은 비자 전체 거래량을 초과하기도 했다.

NFT 시장도 긍정적인 반등을 보였다. 바이낸스 리서치에 따르면 7월 NFT 거래량은 전월 대비 50% 가까이 상승했으며, 이중 이더리움 기반 NFT가 58%의 기여율을 보였다. 특히 크립토펑크 시리즈에서는 대규모 거래가 일어났고, 판매량이 393% 급증했다. 다만 폴리곤(MATIC) 기반의 NFT 활동은 감소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보고서는 알트코인 및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실제 활용 사례가 기관과 투자자에게 실질적인 관심을 받고 있음을 시사하며, 이러한 자산들이 비트코인을 대신할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특히, 이더리움을 중심으로 한 직접 보유, 스테이킹, 디파이 참여 등 적극적인 활용의지가 강해지면서 새로운 시장 구조가 빠르게 형성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