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 미국에 4조 원 투자…중국·멕시코 생산시설 이전으로 관세 압박 대응

[email protected]



제너럴일렉트릭(GE)의 가전 부문 자회사인 GE어플라이언스가 향후 5년 동안 총 30억 달러(약 4조 1000억 원)를 투자하여 중국과 멕시코의 생산시설을 미국으로 이전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결정은 미국 정부의 관세 압박을 완화하고, 그에 따라 공장을 현대화하며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GE어플라이언스는 13일(현지 시간) 냉장고, 가스레인지, 온수기 등의 생산라인을 미국의 켄터키, 조지아, 앨라배마, 테네시, 사우스캐롤라이나 등 5개 주로 확장 이전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투자는 회사 역사상 두 번째로 큰 규모로, 미국 내에서 1000개 이상의 일자리가 새롭게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GE어플라이언스는 지난 6월에도 중국의 세탁기 생산라인을 4억 9000만 달러를 투자하여 켄터키주로 옮기겠다고 발표한 바 있으며, 이러한 계획은 이번 투자안에 포함됐다. 케빈 놀런 최고경영자(CEO)는 “관세로 인해 지금 미국 내에서 생산 시설을 건설하는 것이 유리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지난 10년 동안 미국 제조업에 우리보다 더 많은 투자를 한 가전 기업은 없다”며 이번 계획이 미국 제조업에 대한 지속적인 약속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결정은 많은 글로벌 기업들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압박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내 생산시설 확대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이루어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세계 최대 반도체 수탁생산 업체인 대만 TSMC가 미국 내 시설 확장에 집중하며 일본의 제2공장 착공이 연기되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또한 아스트라제네카, 로슈, 노바티스 등 글로벌 제약사들도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내 판매 의약품을 더 많이 제조해야 한다고 언급한 지에 따라, 미국으로의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세계 경제 전반에 걸쳐 미국 내 제조업의 부흥이 주목받고 있음을 나타낸다.

GE어플라이언스의 이번 대규모 투자는 현대 미국 제조업의 필요를 반영하는 동시에, 제조업의 경쟁력을 높이며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미국 내 제조업체들이 보다 많은 투자를 유치하려는 움직임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