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암호화폐 시장에서 브리지 자금 흐름이 극명하게 나뉘고 있다. 아비트럼과 베이스는 대규모 자금 유입을 기록하며 강한 상승세를 나타낸 반면, 이더리움은 2억 7천만 달러 이상의 순유출을 경험하며 시장의 주도권이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14일 기준, 암호화폐 분석 플랫폼 아르테미스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일간 가장 많은 브리지 자산 유입을 기록한 체인은 이더리움으로 약 10억 392만 달러가 유입되었다. 이어지는 체인들로는 스타크넷이 4억 3164만 달러, 아비트럼이 3억 2846만 달러, 베이스가 2억 5187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솔라나와 유니체인이 각각 1억 360만 달러와 1억 340만 달러로 뒤를 이으며 비교적 뚜렷한 유입세를 보였다.
그러나 자금 유출의 상황은 이와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여주었다. 같은 기간 동안 이더리움에서만 총 12억 7977만 달러의 자금이 유출되며 가장 큰 감소폭을 기록하였다. 스타크넷, 아비트럼, 베이스 역시 각각 4억 856만 달러, 1억 9276만 달러, 1억 3344만 달러가 빠져나가며 유출세가 두드러졌다.
브리지 자산의 순유출입 규모를 살펴보면 아비트럼이 약 1억 3570만 달러로 가장 많은 순유입을 보였다. 총 3억 2846만 달러가 유입되었고, 1억 9276만 달러가 유출되며 뚜렷한 자금 유입 흐름을 보였다. 이어서 베이스가 1억 1842만 달러로 순유입이 있었고, 폴리곤 PoS, 스타크넷, 솔라나 순으로 각각 3318만 달러, 2307만 달러, 2260만 달러의 순유입이 발생하였다. 반면, 이더리움은 2억 7584만 달러의 순유출을 기록하며 대규모 자금 이탈이 발생했다.
이와 같은 자금 흐름은 암호화폐 브리지가 시장의 동향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보여준다. 아비트럼과 베이스가 대규모 자금 유입을 받는 동안, 이더리움의 대규모 유출은 다른 투자 전략들이 자리잡아가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변화는 앞으로도 지속될 수 있으며,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과 다각적인 투자 전략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과거와 지금의 자금 흐름 경향은 앞으로의 시장 전망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다양한 체인이 서로 다른 흐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투자자들은 이 정보를 충분히 활용하여 보다 전략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을 것이며, 각 체인의 기술적 특성과 생태계를 면밀히 분석해 나갈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