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거래소 빗썸이 2025년 2분기 재무 실적 발표를 통해 순이익이 두 배 이상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이 감소한 결과를 보였다. 이는 가상자산 거래시장 내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수익성에 대한 경고 신호를 던진 것으로 해석된다.
14일 빗썸이 금융당국에 제출한 공시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당기순이익은 220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01.8퍼센트 성장한 수치를 기록했다. 이 성장은 주로 비영업적 수익, 즉 이자수익과 일회성 수익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15억 원으로, 전년 대비 34.7퍼센트 감소했다. 이는 마케팅 활동 강화와 시스템 투자 확대 등 영업 관련 비용이 급증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매출에서도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올해 2분기 매출은 1천34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4퍼센트 증가했으며, 이는 신규 회원 유입과 거래량의 증가에 따른 것이다. 빗썸은 최근 사용자 친화적인 환경 조성을 위한 인터페이스 개선과 모바일 앱 업그레이드에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상반기 전체 실적에서는 성장과 수익성 간의 간극이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다. 2025년 상반기 누적 매출은 3천292억 원으로 35.5퍼센트 증가했지만, 순이익은 550억 원으로 46.5퍼센트 감소했다. 영업이익 역시 901억 원으로 5.7퍼센트 줄었다. 이는 증가한 비용이 매출 성장 속도를 초과했음을 나타내며, 외형 확대가 반드시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지지 않음을 강조하고 있다.
빗썸 측은 이러한 실적 결과를 시장 점유율 확대와 브랜드 경쟁력 확보의 성과로 평가하며, 하반기에는 개선된 서비스를 통해 고객 만족도를 높이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특히, 다양한 디지털 자산 상품의 도입과 규제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통해 국내외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전략을 강화할 예정이다.
하반기에는 가상자산 시장의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빗썸의 실적에 여러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만약 거래량이 계속 증가한다면 외형 확대와 수익성 회복이 가능하겠지만, 가상자산 가격의 급변이나 정책 리스크가 커진다면 비용 증가가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렇듯 시장의 변화와 경쟁 환경 속에서 빗썸의 전략 조정 능력이 중장기 성과를 좌우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