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코인베이스에 무려 1,671만 개의 XRP가 대량으로 이동한 사실이 확인되면서 업계에 큰 의문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 XRP의 가치는 약 5,184만 달러, 한화로는 약 720억 원에 달하며, 알려지지 않은 지갑 주소에서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대량 입금은 지난 몇 달간 발생한 유사한 패턴과 일치하고 있어, 업계의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
6월부터 XRP의 온체인 흐름을 면밀히 살펴본 결과, 익명의 여러 지갑에서 코인베이스로의 대규모 이전이 잇따르고 있는 상황이다. 당시 조사된 바에 따르면, 총 52개의 콜드 월렛이 코인베이스와 연결되어 있으며, 그중 10개는 약 2,680만 XRP를 보유하고 있고, 나머지 42개는 각각 1,680만 XRP씩을 보유하고 있었다. 총 보유량은 9억 7,400만 XRP에 이르는 방대한 물량이다.
하지만 현재의 데이터에 따르면, 이러한 패턴에 맞는 월렛은 현재 23개로 줄어들었고, 이들이 보유하고 있는 XRP는 총 3억 7,950만 개로 감소했다. 이는 두 달 전 대비 약 6억 XRP가 사라진 것을 의미하며, 60% 이상의 감소에 해당한다. 이렇듯 대량의 XRP 유입이 재현된 것은 우연일 수 없으며, 내부 재배치, 외부 수탁 관리로의 이동, 또는 대규모 고객의 출금 등의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번 잇단 ‘슬라이스 사이즈’ 입금 현상이 단순한 거래를 넘어 체계적인 자산 구조 조정의 일환일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특히 리플의 ODL(On-Demand Liquidity) 네트워크가 개입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코인베이스 측은 관련 내역에 대한 공식적인 설명을 하지 않고 있어, 불확실성이 더욱 커지는 상황이다.
블록체인 상에서 자산의 이동 경로는 명확히 확인 가능하지만, 자산이 왜 이동했는지를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XRP 커뮤니티는 현재 해당 월렛들에 대한 지속적인 추적을 진행 중이며, 이러한 마찰이 지속될 경우 시장 내 신뢰도 저하로 연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이 사건은 코인베이스와 XRP 생태계 전반에 대한 더 깊은 의문을 불러일으키며, 암호화폐 거래소의 자산 관리 체계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촉발시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