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텔(INTC)의 CEO 리프부 탄(Lip-Bu Tan)이 이번 주 미국 정치와 기업 환경의 중심에 서게 되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며칠 사이 극명한 대조를 이루는 발언을 쏟아내며 그의 거취에 대한 관심이 집중된 가운데, 인텔 주가는 예상치 못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트럼프는 불과 일주일 전 탄 CEO의 해임을 거론했으나, 직후 그의 경영 능력을 “놀라운 성공 사례”로 극찬하며 변화된 입장을 보였다. 이와 동시에 인텔 지분 인수를 미국 정부 차원에서 검토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며 시장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이와 같은 일련의 반전은 단순한 정치적 쇼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전례 없는 정부 개입 가능성을 열어두면서, 미국 반도체 산업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있다. 실제로 트럼프는 엔비디아(NVDA)와 AMD(AMD) 같은 AI 반도체 기업으로부터 중국 수출 대금의 15%를 미국 정부에 납부하게 하겠다는 정책을 추진 중이며, 이는 기술 시장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특히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 입장에서는 이러한 정책이 단순한 규제를 넘어서 ‘수익 공유 요구’로 작용해 혼란을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와 함께, 차세대 검색엔진으로 주목받고 있는 퍼플렉시티(Perplexity)는 구글(GOOGL) 크롬 브라우저 인수 제안으로 345억 달러(약 49조 6,000억 원)를 제시했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판매 의사가 없는 제품에 대한 제안이기에, 시장은 이 소식에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파트너십 신뢰감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자금 조달 계획도 보도되었으나, 업계에서는 한 달 전 1억 달러를 유치한 상황에서 또 다른 자금 조달을 시도하는 것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다.
오픈AI의 GPT-5 출시 또한 난관에 봉착하고 있다. 이용자들의 불만이 증가하자 결국 이전 버전인 GPT-4o의 접근성을 회복하는 조치를 취했으며, 이 틈을 타 일론 머스크(Elon Musk)의 xAI는 자사의 AI 모델 그록(Grok) 4를 무료로 공개하여 시장 점유율 확보에 나섰다. 이는 AI 기업들 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한편, 암호화폐에 대한 열풍은 여전하다. 암호화폐 거래소 불리시(Bullish)는 뉴욕 증시에 상장하며 첫날 주가가 120% 이상 폭등하는 이례적인 상황을 연출했다. 이는 시장의 높은 수익 기대와 변동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음을 시사한다.
기술 기업들의 실적은 서로 엇갈린 흐름을 보이고 있다. 시스코 시스템즈(CSCO)는 AI 인프라 관련 수주 확대로 호실적을 발표한 반면,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AMAT)는 disappointing한 향후 전망을 내놓으며 하락세를 보였다. 코어위브(CoreWeave)와 같은 AI 클라우드 기업들은 지속적인 확장 과정에서 수익성 악화와 함께 기존 주주의 주식을 매각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으며, 이로 인해 주가에 부담이 되고 있다.
따라서, 다음 주 실적 발표를 앞두고 있는 팔로알토 네트웍스(PANW), 워크데이(WDAY), 줌(ZM) 등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는 상황이다. AI와 클라우드 기술이 시장을 주도하는 다음 국면에서 이들 기업의 실적 발표는 기업의 기술 경쟁력뿐만 아니라 투자자 신뢰의 바로미터로 작용할 것이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