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클이 지난 6월 IPO 이후 처음으로 공개한 2분기 실적이 주목받고 있다. 서클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3% 증가한 6억5807만 달러에 달하지만, 코인베이스가 기록한 스테이블코인 매출보다 실질 매출이 적은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서클의 유통 및 거래 비용은 4억647만 달러에 달하며, 이는 매출 공유 계약으로 인해 발생한 비용이다. 서클의 파트너와 나누는 매출을 제외하고 나면 실질적인 수익은 2억5161만 달러에 불과해 총매출의 38% 수준에 불과하다.
유통 및 거래 비용이 전년 동기 대비 64% 증가한 점이 특히 우려된다. 서클은 코인베이스 플랫폼 내에서 USDC 사용 증가와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 과정에서 비용이 증가했다고 설명하고 있다. 반면 코인베이스는 같은 기간에 3억3250만 달러의 스테이블코인 매출을 기록, 서클보다 더 높은 수익을 내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서클과 코인베이스 간의 매출 공유 계약에서 비롯된 것이다. 두 회사는 2018년부터 ‘센터(CENTRE) 컨소시엄’을 통해 USDC의 발행 역할을 수행해왔다. 하지만 최근 거버넌스 강화 과정에서 두 회사는 유통사와 발행사를 분리하였고, 이제 코인베이스 플랫폼 내의 USDC 매출은 전적으로 코인베이스에게 귀속된다. 이런 구조는 서클이 파트너 추가를 통해 발행량을 늘리려 할 때마다 계속해서 보장해야 할 비용의 증가라는 악순환에 빠질 우려가 있다.
서클은 바이낸스, 바이비트 등 다른 거래소와도 매출 분배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에 따른 상세한 수익 분배 방식은 공개되지 않았다. 더불어 서클은 블록체인 기반의 예측 플랫폼인 폴리마켓과도 매출 공유 계약을 맺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서클은 새로운 수익 다변화를 위한 사업 개선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스테이블코인을 기반으로 한 결제 네트워크인 CPN(서클 페이펀트 네트워크)을 통해, 기존의 국제 송금 방식을 혁신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CPN을 통해 국제 송금 시간은 2일에서 5일로 줄어들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으며, 이는 서클이 국내에서도 파트너사를 찾고 있는 주요 사업이기도 하다.
그러나 최근 서클의 주가는 IPO 이후 한때 298.99달러까지 상승했으나, 최근 한 달간 36%가 급락해 149.26달러로 떨어졌다. 이는 투자자들의 우려와 불안정한 실적에 기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서클의 미래가 어떻게 전개될지와 함께,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의 경쟁 구도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