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17일 오전 기준으로 주요 암호화폐 시장에서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등 주요 자산의 시세가 혼조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로 인해 상승 모멘텀과 단기적인 조정이 동시에 나타나는 상황이다. 비트코인은 현재 11만7,524.32달러에 거래되고 있으며, 24시간 기준으로는 0.33% 하락했다. 반면, 1시간 변동률은 0.13%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지난 7일 동안에는 0.79% 상승한 모습을 보여 단기적인 낙폭이 회복되고 있는 양상이다. 그러나, 30일 누적 기준으로는 2.41% 하락을 기록해 중기적으로는 박스권 흐름을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경향은 최근 몇 주간의 급격한 변동 بد는 완만한 조정의 흐름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더리움의 경우, 최근 몇 달간의 가파른 상승세를 통해 현재 가격은 4,408.08달러에 이르렀다. 지난 24시간 동안 1.82% 감소했으며, 1시간 기준으로도 0.2% 하락했지만, 주간 기준으로는 2.48% 상승을 기록해 여전히 긍정적인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30일 전후로 볼 때 두드러진 21.69% 증가율과 60일 기준 74.93% 상승률은 이더리움이 여전히 시장에서 강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최근 상승 랠리 후 기술적 조정이 유입되는 것으로 해석되며, 시장 내 긍정적 전망이 여전히 지배적이라는 분석을 뒷받침한다.
리플은 현재 3.11달러를 기록하며 24시간 기준 0.42%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최근 7일 동안에는 3.96% 하락하였고, 30일 기준으로도 13.65% 감소한 상태이다. 최근 몇 개월간의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리플은 특정 이슈나 시장의 반응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모습이다. 이에 따라 암호화폐 시장 전반이 시세에 있는 종목별로 상이한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최근 이더리움의 상승 흐름에서 차익 실현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디지털 자산 파생상품 시장에 대한 투자 심리를 분석한 결과, 단기 하락에 대한 방어적 심리가 부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비트의 포지션 수익 분포에 따르면, 수익을 실현한 포지션 수가 163건에 그친 반면, 손실 구간에 속한 포지션은 355건으로 수익 구간의 두 배 이상이었다. 이러한 추세는 이더리움과 같은 주요 자산에서 단기적인 기술적 조정이 발생하며 차익 실현이 확대되었음을 시사한다.
특히 이더리움이 지난 30일 간 20% 이상의 상승률을 기록한 후 하루 만에 1.82% 하락함에 따라 고점에서 진입한 포지션들이 손실로 전환된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수익 구간보다 손실 구간이 우세할 경우 투자자 심리는 방어적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해 하방 리스크에 대해서 더욱 민감해진다. 반면 리플은 24시간 기준으로 상승세를 이어가는 등 단기 포지션 수익율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비트코인은 박스권 흐름이 장기화되면서 포지션별 확정 수익률이 두드러지지 않는 반면, 이더리움은 다시 한번 강한 상승 모멘텀을 보이고 있다. 최근 4,000달러를 초과한 이더리움은 기관 수요 확대와 ETF 승인 기대감에 힘입어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 있다. 더불어 카르다노와 같은 알트코인은 긍정적인 소식으로 인해 시장에서 큰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