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에서 모유가 고급 단백질 보충제로 자리 잡으며 보디빌더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산모들이 남는 모유를 판매하여 상당한 수익을 올리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루이지애나주에 거주하는 23세의 맥켄지 스텔리는 둘째 아이를 출산한 뒤, 과잉 생산된 모유를 병원 기관인 ‘타이니 트레저스’를 통해 기부하기 시작했다. 이 기관은 모유 1온스(약 30㎖)당 1달러를 지급했으며, 이를 통해 스텔리는 한 달에 약 1000달러(140만원)를 벌어들였다.
그러나 스텔리는 최근 SNS를 통해 보디빌더들의 모유 구매 요청을 받기 시작했다. 보디빌더들은 근육을 키우기 위해 모유를 필요로 한다고 밝혔으며, 스텔리는 이들에게 1온스당 5달러에 판매하고 있다. 이를 통해 그녀는 한 달 평균 3500달러, 즉 약 480만원의 수익을 올리고 있다. 스텔리는 “내 몸과 시간이 만든 산물인 모유를 판매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더 높은 가격을 책정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조지아주에 거주하는 다른 판매자 역시 SNS를 통해 모유 판매를 시작해, 몇 달 만에 3500온스(약 103ℓ)를 팔아 상당한 수익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듯 모유 판매는 일부 판매자들에게는 정규직처럼 느껴질 정도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모유 거래는 그 본래 목적이 미숙아와 영유아를 위한 기부 및 판매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에는 모유가 면역력 증진에 도움을 주는 ‘슈퍼 푸드’로 인식되면서 성인 시장으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인식 변화가 보디빌더들 사이에서 모유의 수요를 더욱 증가시킨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현상에 대해 주의가 필요하다고 경고하고 있다. 모유에는 비타민 A와 D, 칼슘 및 면역 성분이 풍부하긴 하지만, 성인이 섭취할 경우 근육 발달이나 건강 증진 효과가 과학적으로 입증된 바는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문가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모유 거래는 계속해서 확산되고 있으며, 생명을 잉태한 산모들 사이에서 새로운 경제적 기회를 만들어가고 있다.
이와 같은 사례들은 보디빌더들뿐 아니라 넓은 범위의 소비자들에게도 모유 판매의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으며, 향후 모유 거래 시장의 성장을 주목해 볼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