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이 2025년 3분기 동안 80% 이상의 급등세를 기록하며 암호화폐 시장에서 새로운 전환점을 맞고 있다. 2016년 출시된 이후 가장 뛰어난 성과를 보여주는 이번 분기는, 2020년에 묘사된 ‘디파이 여름’을 뛰어넘는 수준의 실적이다. 이더리움의 상승폭은 비트코인(BTC)보다도 크게 나타나, 이더리움의 기술력과 시장 수요에 대한 신뢰를 반영하고 있다.
암호화폐 데이터 전문 분석 회사인 코인글래스(CoinGlass)의 보고서에 따르면, 이더리움은 최근 분기 동안 단 3개월 만에 80% 이상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는 같은 기간 비트코인의 10% 상승률과 대조적이며, 이더리움의 독자적인 상승세를 더욱 강조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상승세의 배경으로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확장성, 디파이 및 NFT 시장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 그리고 기업 및 기관의 활발한 투자를 들고 있다.
이번 상승세는 과거 ‘디파이 여름’과 유사한 상황을 연상시킨다. 2020년 3분기에는 이더리움이 탈중앙화 금융(DeFi)의 폭발적인 성장에 힘입어 59.5% 상승하였고, 전체 TVL(총 예치 자산)이 전분기 대비 380%나 증가하였다. 하지만 이번 상승세는 그 당시보다 더 많은 회복력과 견고한 시장 기반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이더리움에는 아쉬운 과거도 존재한다. 2018년 3분기에는 암호화폐 시장의 침체와 ICO(최초 코인 공모) 거품의 붕괴로 인해 49% 급락하는 아픔을 겪었다. 당시 이더리움의 dApp(탈중앙화 앱) 생태계의 낮은 채택률과 확장성 문제는 투자자들의 신뢰를 크게 흔들었던 바 있다.
과거에 비해 현재 이더리움의 시가총액은 이미 약 5390억 달러(약 748조 2,100억 원)에 도달하여, 폭발적인 성장은 어렵다고 여겨질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상승세는 안정성과 성장성을 동시에 확보하며 기록된 ‘질적 성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시장 조사기관과 업계 전문가들은 지속적인 기술 업그레이드, ETF 승인 가능성, 그리고 고도화된 탈중앙화 생태계 유지를 중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요소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블랙록과 같은 대형 기관들이 이더리움 매수세를 유지하며 신뢰를 쌓고 있어, 향후 이더리움 가격 상승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도 점차 커지고 있다.
과거와는 다른 탄탄한 기반 위에서 형성된 이번 상승세가 4분기에도 지속될 것인지, 이더리움이 다시 한번 시장의 새로운 기준을 재정의할 시점이 도래했는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더리움의 미래에 대한 기대감은 여전히 존재하며, 향후 시장에서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