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기반 월렛 서비스 메타마스크가 2025년 8월, 자체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인 ‘mUSD’를 공식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월 이용자 수가 3천만 명에 달하는 메타마스크가 스테이블코인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mUSD는 미국 달러에 1대1로 연동되며, 미국 재무부의 단기 국채로 완벽히 담보된다. 그리고 매일 준비금 보고를 실시하여 안정성을 강화하고, 국채 이자 일부를 사용자에게 분배하는 수익 구조를 도입해 기존 스테이블코인인 테더(USDT)와 서클의 USDC에 도전장을 내민다.
이 프로젝트에는 글로벌 금융 거물들이 참여하여 신뢰도를 높였다. 결제 인프라는 스트라이프가 인수한 ‘브리지(Bridge)’가 담당하며, 스마트컨트랙트 설계는 M^0 프로토콜이 맡고 있다. 또한, 세계적인 자산 운용사 블랙스톤이 준비금 자산 관리 파트너로 참여하여 그 안정성을 보장할 예정이다. 메타마스크의 운영사인 컨센시스는 미국에서 시행 중인 ‘GENIUS 법’에 발맞춰 필요한 라이센스를 준비하고 있으며, “기존 스테이블코인보다 더 투명하고 안전한 모델을 제공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mUSD의 출시 일정은 상세히 공개되었다. 8월 중순에는 백서가 발표되고, 베타 서비스가 시작된다. 그리고 8월 말부터는 전 세계 사용자들이 mUSD를 발행하고 환매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현될 예정이다. 9월에는 다양한 디파이 프로토콜과의 연동이 시작되며, 연말까지 아비트럼, 옵티미즘, 폴리곤, 베이스 등 주요 레이어2 체인으로의 확장이 계획되고 있다. 초기 서비스는 미국을 중심으로 시작하겠지만, 싱가포르, 홍콩 및 유럽 연합의 규제를 충족하는 대로 해외 시장에도 진출할 의지를 보인다.
특히, mUSD의 차별점은 수익 공유 모델이다. 기존의 USDT나 USDC는 준비금으로부터 발생하는 국채 이자를 발행사가 독점하던 반면, mUSD는 이 가운데 일부를 사용자에게 분배한다. 이로 인해 단순한 결제 수단을 넘어, 예치만으로도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자산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다. 전문가들은 첫해에는 시장 점유율이 5%-10%에 이를 것으로 예측하며, 2025년 말에는 유통량이 100억에서 2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mUSD의 사용 방법은 간단하다. 메타마스크 지갑에서 달러를 입금하거나 기존의 스테이블코인을 예치할 경우, 자동으로 mUSD가 발행된다. 반대로 환매를 원할 경우, 1~2영업일 내에 은행 계좌로 달러가 송금된다. 준비금은 파산 격리된 계정에서 독립 회계법인에 의해 매일 검증되며, ERC-20 표준을 기반으로 한 이더리움 생태계와 다양한 디파이 프로토콜과의 호환성도 갖추고 있다.
그러나 mUSD도 리스크 요인이 존재한다. 스마트컨트랙트의 버그나, 다중 체인 브리지의 보안 취약점, 극심한 시장 변동으로 인한 달러 페깅 유지 실패 등 여러 잠재 위험 요소가 있다. 또한, 각국의 규제가 본격적으로 자리 잡을 경우 특정 지역에서의 서비스 제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업계에서는 mUSD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이 쏟아지고 있다. 스트라이프의 CEO 패트릭 콜리슨은 “스테이블코인은 금융 서비스의 상온 초전도체”라며 mUSD를 칭찬하였고, M^0 재단의 루카 프로스페리는 이를 “핀테크 백엔드를 새롭게 정의할 혁신”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USDT와 USDC가 쉽게 자리를 내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