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턴, 서울·분당 오피스 거래액 11.7조원 도달 예측

[email protected]



마스턴투자운용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동안 서울 및 분당 지역의 오피스 분야에서 총 거래액이 약 11조7000억원에 달하며, 이는 지난 해 같은 기간에 비해 188.4%의 급증을 보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국내 부동산 시장의 회복세와 금리 하락의 영향을 받아 나타난 결과로 해석된다.

2023년 상반기의 높은 거래액은 주목할 만하며, 연간 거래 규모는 최소 17조8000억원에서 최대 24조5000억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오피스 섹터의 거래 비중이 2022년 이래로 지속적으로 상승해, 오는 2024년 말까지 67.1%에 이를 것이라는 예상과 일맥상통한다. 이는 오피스 시장의 활황을 시사하는 지표로 볼 수 있다.

반면, 임대시장에서는 대기업 중심의 임차 수요와 사무직 종사자 수의 증가, 그리고 인당 사용 면적 확대 등의 긍정적인 요인이 작용해왔으나, 성장세가 둔화될 경우 신규 공급 증가와 맞물려 일부 지역에서는 공실 부담이 커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 경기에 미치는 영향을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필요가 있다.

리테일 부문에서는 경기 둔화와 개발시장 조정으로 인해 최근 거래 규모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이는 가계 소비의 위축, 그리고 인구 고령화 및 구매력 약화 등의 복합적인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호텔 산업은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운영 성과를 회복하며 해외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어, 2024년에는 거래 비중이 9.5%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추세는 2025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마스턴투자운용의 R&S본부는 올해 하반기 상업용 부동산 시장의 전망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며, 오피스와 물류 등 주요 섹터별 동향을 예측하고 있다. R&S본부는 한국 경제 성장률을 0.8%로 예상하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선진국 평균을 소폭 초과하는 수준인 1.8%로 전망하고 있다. 금리 인하 기조가 이어지지만 그 속도와 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되며, 시장금리는 점진적인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최근 원자재 가격이 안정세에 접어들었으나, 임금 상승 등으로 인해 건설비 비율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부동산 개발 사업에 부담을 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오피스 섹터의 회복 여부가 상반기 시장의 흐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마스턴투자운용 관계자는 “상업용 부동산 시장은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금리와 섹터 간 불균형 등으로 인해 여전히 불확실성이 존재한다”고 언급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