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시장, 단기 보유자들의 손실 확정 매도와 반등 신호 가능성

[email protected]



비트코인(BTC) 시장에서 단기 보유자들이 손실을 감수하고 매도에 나서며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최근 온체인 데이터 분석업체 크립토퀀트(CryptoQuant)의 보고서에 따르면, 비트코인을 보유한 지 155일 이하의 단기 투자자들이 약 7개월 만에 처음으로 손해를 확정하고 매도한 정황이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지난 1월의 급락 이후 처음이며, 당시에도 금리 인상 우려와 인공지능 기술주 매도, 트럼프 정부의 불확실성 등 여러 악재로 인해 비트코인 시장은 세차게 조정받았다.

1월의 급락 이후 비트코인은 서서히 회복세를 보였고, 기록적인 가격 상승을 이루며 6자리 수 가격대에 도달했다. 이에 따라 단기 보유자들이 수익을 실현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었지만, 최근 며칠 사이 비트코인이 다시 약 1만 달러(약 1,390만 원)에 근접하면서 상승세가 꺾였다. 이러한 가격 조정이 단기 보유자들의 매도 심리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STH-SOPR(Spent Output Profit Ratio) 지표는 비트코인 투자자들이 손실을 보고 자산을 매도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이 지표가 오랜만에 1 아래로 하락했다. 이와 같은 상황은 시장에서 ‘약한 손’을 정리하고 다음 상승을 위한 재정비 과정이 될 수 있으나, 만약 매도세가 지속될 경우 추가 하락을 유도할 여지도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낙관적인 관측도 있다. 크립토퀀트는 최근 비트코인의 거래소 순 유출량이 -1,700 BTC에서 -3,400 BTC(약 347억 원에서 약 695억 원)으로 확대되었다고 보고하며, 이는 투자자들이 하락장에서 ‘저가 매수’에 나서고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되었다. 이들은 비트코인 여전히 강세 사이클에 있으며, 이번 조정이 건강한 숨고르기로 볼 수 있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하지만 거래소에 다시 매도 물량이 유입될 경우, 단기적으로는 약세장이 심화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향후 시장의 향방은 단기 보유자들의 손절매가 일시적 현상인지, 그리고 주요 플레이어들이 이를 얼마나 잘 흡수할 수 있을지에 달려 있다. 비트코인의 방향성은 이러한 줄다리기 속에서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

결론적으로, 현재 비트코인 시장은 단기 보유자들의 손실 매도와 거래소에서의 자산 유출 간의 긴장이 교차하며 향후 변동성을 예고하고 있다. 비트코인의 가격 흐름은 이러한 복합적인 요소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참여자들은 주의 깊게 상황을 주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