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퇴직연금 제도인 ‘401(k)’에 비트코인을 포함하는 행정명령이 트럼프 대통령에 의해 서명되면서 암호화폐 시장에 큰 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이 조치를 통해 미국의 퇴직연금 투자자들로부터 수천억 달러 규모의 자금이 비트코인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비트코인의 가격이 2025년 말까지 20만 달러에 도달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암호화폐 자산운용사 비트와이즈의 유럽 리서치 총괄 안드레 드라고슈는 최근 코인텔레그래프 주최의 X스페이스 방송에서 이 같은 예측을 내놓았다. 그는 미국의 퇴직연금 자산 총액이 약 12조 2,000억 달러에 달하며, 포트폴리오의 단 1%만 암호화폐에 투자할 경우 최대 1,220억 달러, 즉 약 169조 5,800억 원 규모가 비트코인으로 유입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올해 초 미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승인한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보다도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을 시사한다.
드라고슈는 이러한 계산이 충분히 보수적인 가정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퇴직연금 투자자들이 암호화폐에 대한 진입 장벽을 낮추면서 비트코인이 제도권 자산으로 확산될 가능성을 높이고 있음을 언급했다. 이번 행정명령은 비트코인의 변동성을 줄이고, 더 많은 투자 계층이 비트코인에 접근할 수 있는 조건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은퇴자금이 투자되는 특성과 장기 투자의 안정성을 고려할 때,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긍정적인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결정이 디지털 자산의 수용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수많은 투자자들이 비트코인을 비롯한 암호화폐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고, 예전의 투기적 성격에서 벗어나 보다 평범한 투자 자산으로 인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비트코인의 4년 주기 이론이 여전히 유효할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는 가운데, 이번 조치는 그간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새로운 강세장을 촉발할 수 있는 요소를 제공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시장의 변화는 향후 암호화폐 생태계에도 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전문가들은 이를 통해 디지털 자산의 제도적 수용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따라서 비트코인이 제도권에 포함되면서 격변하는 시장 환경 속에서 새로운 기회를 선도할 수 있게 될 것이며, 이러한 흐름은 앞으로의 디지털 자산 투자에 있어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