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중장기 투자자층의 ‘항복’이 새로운 상승장의 신호인가?

[email protected]



최근 비트코인(BTC) 중장기 투자자들이 하락시장 속에서 ‘항복’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온체인 분석에 따르면, 3년에서 5년 사이에 보유한 비트코인 주소들에서 나타나는 매도 행위는 마치 단기 투자자와 같은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투자자들은 강세장 내내 이익을 실현하기보다는 하락기에는 매도에 나서는 경향을 보이며, 시장에서 ‘약한 손’으로 평가받고 있다.

크립토퀀트(CryptoQuant)의 분석에 따르면, 이들 투자자는 대부분 2021년의 강세장에서 시장에 유입된 신규 참여자들로, 전통적인 장기 보유자들과는 달리 비트코인을 두 번 이상의 사이클에서 경험하지 못한 것이 특징이다. 이들이 매도에 나서게 되면 역사적으로 비트코인이 바닥을 형성하는 시점과 많은 경우 일치하게 되는 만큼, 중장기 투자자의 항복이 새로운 상승장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조명받고 있다.

이러한 투자자 움직임은 시장 전환을 알리는 다른 지표들과도 연결된다. 최근 고래 비율 지수(Exchange Whale Ratio)는 0.47에서 0.50 구간으로 상승하며 눈길을 끌고 있다. 이 지수는 주요 거래소로 유입되는 상위 10대 대량 비트코인 이체의 비율을 나타내며, 과거 이에 따른 비트코인 가격이 하락세를 멈추고 반등하는 경우가 여러 번 존재했다.

또한, 비트코인 벡터(Bitcoin Vector)의 분석지표도 긍정적인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이 플랫폼은 현재 비트코인이 ‘회복-축적-확장’의 세 단계 중 축적과 확장 사이에 머물러 있으며, 앞으로 추가 상승 여력이 있다는 해석을 제시하고 있다. 글래스노드 공동 설립자인 네젠트로픽(Negentropic) 또한 온체인 펀더멘털에서 비트코인에 대해 ‘위험 신호’가 전혀 없다고 언급하며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현재 비트코인은 11만 5,000달러(약 1억 5,985만 원)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강한 변동성 속에서 새로운 방향성을 찾고 있는 상황이다. 시장 참여자들은 중장기 투자자들의 불안정한 매도세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있으나, 이는 동시에 신규 강세장의 출발 신호일 수 있다는 긍정적인 예측과도 맞물려 있다.

결론적으로, 비트코인 중장기 투자자들의 매도세가 역사적 시점과 맞물려 있으며, 기존 시장 지표들과 함께 상승장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의 가격 흐름에 주목해야 할 시점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