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관세압박 속 중국과 인도, 5년 만에 합의로 관계 개선

[email protected]



중국과 인도가 2020년 히말라야 분쟁 이후 무력 충돌로 갈등이 지속된 가운데, 최근 양국 관계 개선에 합의했다. 이 합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외교적 전술의 일환으로 분석된다. 인도 외교부는 19일(현지시간) 중국과 함께 3개의 지정된 교역 지점을 통한 국경 무역 재개에 합의했음을 밝혔다. 이는 양국 간의 무역과 투자 촉진을 위한 구체적인 조치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양국은 5년 동안 중단된 직항 여객기 운항을 재개하기로 결정했으며, 관광객 및 기업인, 언론인을 포함한 기타 방문객에 대한 비자 발급 문턱도 낮추기로 했다. 이와 관련하여, 2026년과 2027년 인도와 중국에서 각각 개최되는 브릭스(BRICS) 회의에 대해서도 상호 지원하기로 합의했다.

중국은 비상 상황 시 수문 정보를 공유하기로 하여 인도에 대한 인도주의적 고려를 나타냈다. 중국이 상류국으로, 인도가 하류국으로 위치해 있는 상황에서, 중국의 댐 건설 혹은 물 방류는 인도에 홍수 피해를 초래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 요소이다.

양국의 국경 무역 재개는 2020년 히말라야 인근에서의 군사 충돌 이후 처음 이루어지는 것으로, 양국 간의 긴장 완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최근에는 중국이 인도와 군사적 분쟁 중인 파키스탄에 전투기를 공급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긴장이 재차 고조되기도 했다.

양국의 해빙 분위기는 지난해 10월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첫 양자 회담을 토대로 형성되었다. 이 회담은 러시아 카잔에서 열린 브릭스 정상회의에서 이루어졌으며, 3500㎞에 달하는 국경 순찰에 대한 합의도 도출되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이 양국 관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고 진단하며, 이 과정에서 인도의 전략적 재교류가 이루어졌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현재의 상황을 전략적 변화라기보다는 전술적 움직임으로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의 카슈미르 지역 내 아크사이친 등 영토 분쟁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으며, 상호 불신과 높은 제조업 의존도, 그리고 지정학적 입장 차이 등의 문제는 관계 회복에 있어 우려 사항으로 지적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