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이 시카고상품거래소(CME) 선물 갭을 메우며 새로운 상승 모멘텀을 획득했다. 투자자들은 현재 시장에서 다음 목표가 1만 달러(약 1,390만 원)라고 주목하고 있다. 다수의 기술적 지표와 온체인 데이터가 강한 반등 가능성을 예고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이더리움은 4,600달러(약 6,394만 원) 부근에서 급락하여, CME 선물 갭 중 4,050~4,100달러(약 5,630만~5,699만 원) 구간을 완전히 메웠다. 이 시점에서의 조정은 롱포지션의 강제 청산으로 인해 발생한 매도세가 주 원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해당 갭은 트레이더들 사이에서 가격 회귀가 자주 일어나는 구간으로 인식되어 있어, 갭이 메워진 직후 ETH는 4,200달러(약 5,838만 원) 부근에서 안정적인 거래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기술적 반등 가능성을 강하게 주장하고 있다. 암호화폐 분석가인 CW는 “롱포지션이 정리되었고 갭이 메워졌다. 이제 숏포지션 정리가 필요할 때”라며 ETH의 단기 반등이 시작될 것이라는 점을 시사했다. CME 갭은 과거에도 가격을 이끌어내는 성질을 보여왔고, 주요 갭이 닫힌 후 ETH가 수 주 간 40% 이상 상승했던 사례도 존재한다. 그렇기에 이번에도 비슷한 상승세가 기대되고 있다.
기술 분석 측면에서도 저항선을 돌파한 신호가 포착됐다. Merlijn The Trader는 “이건 단순한 소음이 아니다. 이는 발사대에 오르는 신호”라며, 월간 차트에서 4년간 지속된 하락 저항선을 돌파한 점을 강조했다. 여기에 월간 MACD의 골든크로스 형성도 중장기적 강세 흐름을 뒷받침하고 있다.
또한, 이더리움의 거래소 보유량이 감소하고 있는 점도 온체인 지표로서 중요한 신호로 작용하고 있다. 애널리스트 Cas Abbé는 “중앙화 거래소에서의 ETH 공급량이 9년래 최저 수준으로 감소했다”며, 기관 자금이 유입되고 있으며, 이들이 보유한 자산을 오프체인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현재 ETH의 거래소 잔고는 예전의 30달러(약 4만 원) 수준과 유사한 수준까지 줄어들었다.
이러한 공급 부족 현상은 비트코인(BTC)보다도 더 심각하다고 Abbé는 분석했다. 공급이 줄어드는 가운데, 긍정적인 기술적 상승 신호가 복합되면서 ETH의 중장기적 매수 압력이 커질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CME 갭 메움은 단순한 기술적 조정의 완결을 넘어서는 의미를 지닌다. ETH는 단기 저항을 흡수하고 있으며 거래소 내 매도 공급의 유의미한 감소, 장기 추세선의 돌파 및 주요 기술 지표의 긍정적 변화가 함께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향후 1만 달러(약 1,390만 원)로의 여정이 점점 더 현실화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 데이터들은 이더리움의 기술적 구조와 공급 조건이 개선되고 있음을 실질적으로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