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취임 후 1억 달러 규모의 채권 거래… 금리 인하 압박과 이해충돌 우려

[email protected]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으로 복귀한 이후, 약 1억 달러에 달하는 채권을 대규모로 매입한 사실이 확인되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 이후 이달 초까지 총 690건의 채권 거래를 실시했으며, 거래 금액은 최소 1억370만 달러(약 1450억 원)에 달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기업의 채권과 함께 지방정부나 교육청, 공항 당국 등이 발행한 지방채도 포함해 다양한 채권에 투자했다. 특히 퀄컴, T모바일, 홈디포의 채권 각각에 대해 50만 달러 이상을 투자했으며, 메타의 채권은 25만 달러 이상의 규모로 매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에서는 연방 공직자의 투자 내역이 공개되지만, 개별 거래의 정확한 금액 대신 대략적인 범위만 제시된다.

그는 개인정보와 관련하여 자산이 64억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전일부터 채권 거래를 계속하며 공격적인 투자 전략을 이어온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채권 투자는 이해충돌의 우려를 낳고 있다. 미국 기업의 채권은 정부의 정책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특히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를 낮추면 채권 가격이 상승하기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이 Fed의 금리 인하와 관련하여 공공연히 불만을 제기해온 점이 이를 더욱 부각시킨다.

1978년에 제정된 연방 윤리법에 따르면 대통령은 ‘이해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자산을 처분해야 한다’라는 의무 규정이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미국의 역대 대통령들은 자발적으로 이러한 이해충돌 가능성이 있는 자산을 처분했거나, 백지 신탁을 설정해왔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한 전통을 따르지 않은 최초의 대통령으로 기록되고 있다.

최근 공개된 2024년 재정 보고서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플로리다의 마러라고 리조트와 암호화폐 관련 사업 외에도, 개인 투자 계좌에 수백 개의 채권을 보유하고 있다는 물론 추가적인 자산 내역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우려들은 미국 내 정치적 논란의 중심이 되고 있으며, 앞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투자 활동이 어떻게 전개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