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중대한 변곡점에 접어들다…레버리지 증가와 기관의 지속적인 매집

[email protected]



비트코인(BTC) 시장이 핵심 변곡점에 진입했다. 현재 단기 보유자의 평균 실현 손익을 나타내는 STH-SOPR 지표가 1.0을 중심으로 움직이고 있다. 이와 동시에 투기성 레버리지가 급증하는 한편 기관 투자자들의 비트코인 매집이 계속되고 있어, 시장에서 두 가지 극단적인 매수세가 상호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중립적인 거래 심리는 결국 특정 방향성이 확인될 경우 급격한 가격 변동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을 낳고 있다.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업체 크립토퀀트에 따르면, 2023년 초 STH-SOPR 비율은 1.0 이하로 머무르며 시장이 약세를 보였지만, 2024년 초에는 1.2까지 상승하며 투자자들이 이익 실현에 나서기 시작했고, 이에 따라 비트코인 가격은 7만 달러(약 9,730만 원)를 초과했다. 이후 이 지표는 다시 1.0 부근에서 흔들리며 시장이 관망하는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현재 비트코인 가격은 약 11만 3,600달러(약 1억 5,780만 원)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STH-SOPR이 1.0을 명확히 돌파할 경우 단기 보유자들이 수익 실현을 계속하면서도 매수세가 지속됨을 의미한다. 이는 비트코인이 12만~13만 달러(약 1억 6,680만 원~1억 8,070만 원)에 이를 수 있는 조건을 마련해줄 것이다. 반면 지표가 1.0 아래로 떨어지면 손실 매도가 증가할 수 있어, 가격이 9만 5,000~10만 달러(약 1억 3,205만 원~1억 3,900만 원)로 떨어질 위험도 존재한다.

이번 변곡점의 핵심은 투기 세력과 실수요 사이의 이중 구조로, 크립토퀀트의 분석에 따르면 전체 파생 거래소의 오픈 인터레스트(미결제약정)는 400억 달러(약 55조 6,000억 원)를 초과하며 역사적 고점에 근접했다. 또한 펀딩비가 상승세를 보이며 강한 롱 포지션이 감지되고 있다. 이러한 과도한 레버리지 포지셔닝은 단기 가격 조정 시 연쇄 청산을 유발할 수 있어, 급락 위험을 증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반면, 기관 투자자들은 여전히 장기적 매수세를 유지하고 있다. ETF와 기업의 재무부 등을 포함한 다양한 투자 주체들이 현재까지 130만 BTC를 확보하고 있으며, 이는 주요 가격 하단을 지지할 가능성이 높다. 이들은 단기적인 시장 변동성에 휘둘리지 않고 비트코인을 전략적 자산으로 인식하여 점진적인 매집을 이어가고 있다.

전문가들은 SOPR의 중립적 흐름이 끝이 나는 시점에 다시 한번 큰 추세 전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하고 있다. 레버리지와 실물 수요 간 균형이 깨질 경우, 이는 변동성을 촉발하는 핵심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예측이 우세하다. 현재 시장은 ‘폭풍 전의 고요’ 상태에 머물러 있지만, 그 결말은 급격한 상방 혹은 하방 이동으로 귀결될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