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와 전통 금융, 법 집행기관, 보안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새로운 블록체인 기반의 금융 범죄 대응 네트워크인 ‘비콘 네트워크(Beacon Network)’를 출범시켰다. 이 네트워크는 의심되는 지갑을 추적하고 범죄 자금의 흐름을 차단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TRM 랩스(TRM Labs)는 3일 공식 블로그를 통해 비콘 네트워크의 출범 소식을 전하며 “업계 전반에서 unprecedented한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암호화폐의 범죄 자금 출구 자체를 차단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밝혔다. 그들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이후 사기 관련 지갑으로 직접 전송된 자금의 규모는 470억 달러(약 65조 4,300억 원)을 초과했다. 그러나 TRM 랩스는 실제 피해 규모가 더 클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비콘 네트워크는 인증된 회원들이 금융 범죄가 의심되는 지갑 주소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며, 해당 자금은 블록체인 상에서 실시간으로 추적된다. 이 과정에서 정보를 관련 서비스와 글로벌 수사기관과 공유하는 체계를 갖추고 있다. 특히, 의심 자금이 거래소나 결제 플랫폼 등 네트워크에 가입된 기관에 도달할 경우 자동 경고 알림이 전송되어 자금의 인출이나 세탁 전에 신속하게 동결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번 네트워크에 참여한 주요 멤버로는 코인베이스(Coinbase), 바이낸스(Binance), 크라켄(Kraken) 등 유명 암호화폐 거래소는 물론 로빈후드(Robinhood), 페이팔(PayPal), 앵커리지 디지털(Anchorage Digital), 리플(XRP) 같은 다양한 분야의 주요 플레이어들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블록체인 보안 분석가인 잭XBT(ZachXBT)와 보안 전문 연합인 SEAL(Security Alliance) 등도 참가했다.
TRM 랩스는 “전 세계 주요 법 집행기관들이 네트워크에 적극 참여하고 있으며, 위협이 되는 지갑 주소를 식별하고 관련 경고를 자동으로 발송하여 범죄 자산이 현금화되기 전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이 네트워크의 범용성과 실효성을 강조했다.
비콘 네트워크는 이제 업계 간 실시간 정보 공유를 바탕으로 자금세탁, 피싱, 해킹 등 다양한 암호화폐 범죄에 대한 대응 체계를 근본적으로 진화시키는 노력을 하고 있다. 규제 기관과 산업이 협력하면서 사전 대응의 중요성을 강화하는 흐름이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 네트워크가 향후 글로벌 표준 대응 시스템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