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 한국의 역할은 무엇인가?

[email protected]



아세안(ASEAN) 구도가 오는 10월 쿠알라룸푸르 정상회의를 기점으로 변화할 것으로 보인다. 동티모르(티모르-레스트·Timor-Leste)가 아세안의 11번째 정회원국으로 합류할 예정이다. 2002년 독립 이후, 동티모르는 지속적으로 아세안 가입을 목표로 해왔고, 2011년에 공식 가입 신청을 제출했으며 2022년에는 옵서버 자격을 부여받았다. 2023년에는 가입 로드맵이 확정되어 최종 승인이 임박한 상황이다.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으로 인해 아세안 내부의 정치적 이질성이 확대될 전망이다. 동티모르는 인도네시아 동쪽 끝자락에 위치한 저개발국이지만, 민주주의 체제를 지속해 온 몇 안 되는 국가 중 하나로, 혼란이 지속되는 미얀마와 권위주의성이 짙은 캄보디아 및 라오스와의 뚜렷한 대조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동티모르의 합류는 아세안 내에서 새로운 갈등 요인이 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미얀마 사태에 대한 동티모르의 강경한 입장이 아세안 내부의 분열을 촉발할 수 있다.

한편, 경제적 측면에서는 동티모르의 회원국 가입이 부담과 기회를 동시에 안고 있다. 현재 동티모르는 아세안 전체 GDP의 0.1%도 되지 않는 한계 경제를 가진 국가로, 인프라 부족과 국가 재정의 석유 및 가스에 대한 의존도가 심각하다. 이는 아세안 공동체가 추진하고 있는 경제 통합에 불균형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불균형이 역외 파트너들에게는 새로운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 일본, 호주, 중국은 이미 동티모르와의 개발 협력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으며, 동티모르가 ‘미개척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안보 측면에서도 동티모르는 전략적 위치를 갖고 있다. 인도양과 태평양의 교차점인 동티모르는 미-중 전략 경쟁의 무대가 될 수 있다. 동티모르가 아세안 틀에서 ‘국제법 준수’를 강조할 경우, 남중국해 문제에 있어 베트남 및 필리핀과의 연대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중국의 반발을 자극할 가능성이 있다. 미국과 호주가 동티모르를 통해 아세안과 인도-태평양 전략을 연결하는 교두보를 구축할 수 있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이는 아세안의 ‘전략적 자율성’을 시험에 들게 하고, 남태평양까지의 전략적 평면을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변화는 한국에 여러 면에서 기회를 제공한다. 한국과 동티모르는 역사적 인연이 깊다. 1999년 동티모르의 독립 직후, 한국은 유엔 평화유지군을 파병하여 ‘상록수부대’라는 이름으로 국제적 기여를 한 바 있다. 한국은 동티모르에게 ‘위기 순간 도움을 준 나라’로 기억되며, 과거 권위주의를 극복하고 민주주의를 성취한 경험을 공유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한국은 동티모르와 민주주의 전환에 있어 공통의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훌륭한 파트너가 될 것이다.

경제적으로도 동티모르는 한국에게 중요한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동티모르의 가스전 개발과 관련하여 천연가스 수입 의존도가 높은 한국은 이 지역을 통해 수입선을 다변화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한국의 해양플랜트 및 LNG 운반선 기업은 신규 사업 기회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로, 전력, 항만 등 인프라 건설에는 한국형 개발 협력의 경험이 절실히 요구된다.

결론적으로,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이 진행됨에 따라 한국은 단순한 신규 회원국 이상으로, 과거와 미래의 협력 기회를 겹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