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10년물 국채 금리가 1.61%로 상승하며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21일 도쿄 채권시장에서 이 금리는 한때 1.61%에 도달했으며,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리먼 브러더스 사태 영향을 받았던 시기 이후 최고 수준이다. 동시에 20년물 국채 금리도 2.655%로 올라, 1999년 1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다.
핵심 분석가들은 일본은행(BOJ)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국채 금리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일본은행은 올해 1월 기준금리를 0.25%에서 0.5%로 인상한 이후 여러 차례 금리를 동결해왔다. 그러나 금융시장 관계자들은 일본은행이 오는 10월에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강한 전망을 내놓고 있다. 이러한 전망은 자민당과 공명당이 일본의 참의원 선거에서 소수당으로 전락함으로써, 재정이 더욱 악화될 것이라는 우려와 관련이 있다.
특히 일본의 야당은 지난 달 참의원 선거에서 소비세 감세를 공약으로 내세운 뒤, 이로 인해 발생할 적자 국채 발행과 유동성 증가에 대한 경계감이 커지며 장기 금리가 오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러한 금리 인상 압력이 일본 경제의 재정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살펴봐야 할 시점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일본 경제는 저금리 정책이 지속되고 있으며, 일본은행은 전세계적으로 부채가 증가하는 가운데 재정 적자를 해소하기 위해 금리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시장의 변동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으며, 변동성이 커지는 금융시장에서는 투자자들이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일본국채의 장기 금리가 계속해서 상승할 경우, 일본경제와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향후 일본은행의 정책 방향과 금리 인상 시기에 대한 명확한 신호가 중요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