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의 거래량이 급증하며 올해 가장 중요한 매수 및 매도 신호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업체 샌티멘트는 최근 두 차례의 거래량 폭증이 각각 최적의 저점에서 매수할 기회와 최고점에서 매도할 시점을 나타냈다고 밝혔다.
샌티멘트에 따르면, 지난 6개월 동안 기록된 주간 최대 거래량은 비트코인 시장에서 관찰된 가격 하락과 상승의 정점과 정확히 일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거래량 폭증은 올해 4월, 무역 관세 문제로 촉발된 하락에서 발생한 840억 8,000만 달러에 이르는 거래량 급증이었다. 이때 비트코인은 이후 상승세로 전환했다. 두 번째 거래량 신호는 최근에 기록된 909억 달러의 거래량으로, 이는 비트코인이 사상 최고치인 12만 4,000달러를 돌파할 때와 함께 발생했다.
이러한 데이터는 비트코인의 거래량이 상승과 하락의 전환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샌티멘트는 “비트코인의 두 차례 거래량 급증은 각기 다르게 가격 하락 시 저점 매수의 기회를, 가격 상승 시 수익 실현의 시점을 알려줬다”고 분석했다. 이는 전통적인 반대매매 전략을 뒷받침하며, 투자자들이 극단적인 거래량 증가를 주목해야 함을 다시금 강조하고 있다.
이와 함께 온체인 데이터 분석 플랫폼인 글래스노드의 분석도 주목할 만하다. 최근 5일 동안 이른바 ‘퍼스트 바이어(First Buyers)’는 5만 BTC를 추가로 확보했으며, ‘신념 보유자(Conviction Buyers)’들도 조심스럽게 매수세를 유지하는 모습이다. 그러나 손실을 감수하며 보유 자산을 매도한 ‘패닉 셀러(Loss Sellers)’는 약 38% 증가했으며, 이익 실현을 원하는 투자자는 2025년 들어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8월 20일 기준으로 장기 홀더들은 비트코인, 이더리움(ETH), XRP, 솔라나(SOL)에서 총 28억 달러에 달하는 수익을 실현했다. 특히 비트코인에서는 지난 7월 18일 하루에만 15억 달러에 달하는 판매 수익이 발생했으며, 이는 2024년 12월 이후 가장 큰 규모라고 보고됐다. 이러한 매도 압력은 비트코인의 가격을 한때 11만 3,000달러 아래로 떨어뜨리며, 하루 만에 시가총액이 700억 달러 이상 증발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러한 시장 동향은 심리적 측면에서도 나타났다. 샌티멘트는 소셜미디어 플랫폼에서의 군중 심리가 6월 이후 가장 부정적이었다고 전하며, 투자자들 사이에서 공포 심리가 극대화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기사 작성 시점 기준으로 비트코인은 11만 3,705달러에 거래되고 있으며, 최근 일주일 간에 약 7% 하락했다. 최근 한 달 동안으로 따지면 3.1% 하락세를 보이고 있지만, 연초 대비로는 여전히 91%의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 시장의 단기 조정 속에서 전략적 분석과 발전된 온체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매매 전략의 중요성이 다시 한번 강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