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I3 펀딩비 차익거래, 최대 33.65% 연환산 수익 기대

[email protected]



최근 데이터맥시플러스에 따르면, API3/USDT를 기반으로 한 펀딩비 차익거래 전략이 시장에서 높은 수익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 전략은 무기한 선물의 펀딩비 구조를 활용하여 현물과 선물 가격의 차이를 이용, 자산의 가격 변동을 헤징하면서 수익을 추구하는 방식이다.

가장 유망한 조합으로는 Gate.io의 선물과 현물을 활용하는 전략이 있다. 이 경우, Gate.io 선물에서 마진 숏 포지션을 보유하고, Gate.io 현물에서 롱 포지션을 취하는 방식을 통해 -0.3841%의 펀딩비가 적용된다. 이로 인해 연환산 수익률은 33.65%에 달하며, 예상 연간 펀딩비 수익은 약 168,048달러로 분석됐다.

이와 유사한 전략으로는 Gate.io(선물)-Bitget(현물), Gate.io(선물)-HTX(현물), Gate.io(선물)-Binance(현물), Gate.io(선물)-OKX(현물) 조합이 있으며, 이 모든 전략에서도 긍정적인 스프레드와 함께 동일한 연간 수익 예측을 할 수 있다. 또한, Bybit(선물) 기반의 API3 전략도 주목받고 있다. Bybit(선물)-HTX(현물) 조합에서는 -0.2903%의 펀딩비율에 따라 연환산 수익률이 25.43%로 나타났으며, 연간 약 126,987달러의 수익이 기대된다.

이 전략의 장점은 펀딩비가 음수일 경우, 즉 시장의 방향성과 관계없이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이다. 반면, MYX/USDT는 최근 가장 높은 펀딩 수익률인 연환산 3.97%와 과거 최저 펀딩비율인 -0.1428을 기록해, 높은 투기적 수요와 변동성을 보이는 종목으로 확인됐다.

펀딩비는 일반적으로 8시간 단위로 변동하기 때문에 전략 실행 전 각 거래소의 실시간 데이터를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펀딩비가 높거나 양수인 경우, 롱 포지션 수요가 많아 선물 가격이 현물 가격보다 높아지며, 이 경우 롱 포지션이 숏 포지션에게 펀딩비를 지급한다. 투자자는 이를 활용하여 현물을 매수하고 선물에서 숏 포지션을 취함으로써 펀딩비 수익을 확보할 수 있다.

반대로, 펀딩비가 낮거나 음수일 경우, 숏 포지션 수요가 많아 선물 가격이 현물 가격보다 낮아지며 숏 포지션이 롱 포지션에게 펀딩비를 지급해야 한다. 이때 투자자들은 현물 매도와 선물 롱 전략을 통해 펀딩비 차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펀딩비 차익거래는 시장의 변동성과 관계없이 안정적인 수익률을 노릴 수 있는 유망한 전략으로, 특히 장기적인 시장 방향을 예측하기 어려운 환경에서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펀딩비는 시장 참가자의 포지션 비율에 따라 크게 변동할 수 있기 때문에, 거래소별로 펀딩비 차이와 자본 비용을 고려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