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파월 잭슨홀 연설을 앞두고 하락…금리 인하 기대감 둔화

[email protected]



미국 뉴욕 증시의 주요 지수들이 21일(현지시간)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이는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잭슨홀 심포지엄에서 발표할 연설을 앞두고 투자자들의 경계감이 고조됐기 때문이다. 특히,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줄어들면서 시장이 악재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이날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52.81포인트(0.34%) 하락해 4만4785.5에 장을 마쳤고, S&P500지수는 25.61포인트(0.4%) 내린 6370.17을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 또한 72.545포인트(0.34%) 하락하며 2만1100.312에 거래를 종료했다. 이러한 하락세는 S&P500지수가 5거래일 연속 하락하고, 나스닥지수가 3거래일 연속 하락하는 원인이 되었다.

투자자들은 잭슨홀 심포지엄에서 발표될 파월 의장의 발언이 금리 인하 기대에 부합할지, 아니면 기존의 신중론을 유지할지를 주목하고 있다. 백악관의 금리 인하 압박이 커지는 가운데, 중앙은행의 독립성을 강조하는 발언이 나올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특히, 금리 인하에 대한 신중론이 Fed 위원들로부터 이어졌다. 이날 베스 해맥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는 “현재 상황에서는 통화완화 정책을 지지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고, 제프리 슈밋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는 “정책금리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확실한 데이터가 필요하다”며 신중한 입장을 견지했다. 그는 현재 인플레이션이 2%보다는 3%에 가까운 수준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여전히 존재한다고 언급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S&P글로벌이 발표한 미국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8월에 53.3으로 전월(49.8) 대비 3.5포인트 상승하며 주요 경제 지표가 호조를 보였다. 이 결과는 제조업 경기가 확장 국면에 진입했음을 시사하며, 수요 회복이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가능성을 불러일으켰다. 넷얼라이언스 증권의 앤드루 브레너 부사장은 이 데이터가 파월 의장이 내일 행보를 고용 둔화 쪽으로 선회하기 어렵게 만들 것이라고 분석했다.

금리 인하 기대감의 둔화로, 시장에서는 연방준비제도가 현재 연 4.25~4.5%인 기준금리를 9월에 0.25%포인트 내릴 가능성이 73.6%로 집계됐다. 이는 일주일 전 92.1%, 전날 82.4%에서 하락한 수치이다. 또한, 최근 공개된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서도 금리 인하는 시기상조라는 의견이 대다수 Fed 위원들 간에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다.

노동시장 관련 지표에서도 둔화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 미 노동부의 최근 발표에 따르면,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지난주 23만5000건으로 두 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에 달했다. 이 숫자는 시장 예상치인 22만6000건을 초과하며 우려를 낳고 있다. 특히 계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3년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며 경제에 미치는 압박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이와 함께 금리 인하 기대감이 줄어들자 국채 금리가 상승세로 돌아섰다.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는 전 거래일 대비 2bp 오른 4.32%, 2년 만기 국채 금리는 4bp 상승한 3.79%에 거래 중이다.

기업별로는 월마트의 주가가 4.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