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Ripple)이 최근 35,000,000개의 XRP(약 495억 원)를 이동한 대규모 트랜잭션이 리플의 내부 유동성 재배치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처음에는 단순히 지갑 간의 이체로 보였지만, 거래 기록을 추적한 결과, 리플 네트워크와 밀접한 경로를 따라 자산이 이동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이번 거래는 XRP 원장 내에서 이루어졌으며, 약 1억 774만 달러(약 1,500억 원) 상당의 XRP가 연관된 사실이 밝혀졌다.
이번 대규모 트랜잭션은 XRP 월렛에서 식별된 주소 간에 10만 달러 단위로 나뉘어 전송됐다. 전체 중 약 3,500만 개의 XRP는 한 번의 중간 목적지로 이동한 뒤, 최종적으로 온디맨드 유동성(On-Demand Liquidity, ODL) 네트워크와 연결된 지갑 주소로 옮겨졌다. 이러한 움직임은 개인 보유자의 자산 이동보다는 리플의 전략적 자산 운영 일부로 간주될 수 있으며, 익명의 주소가 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리플의 내부 재정 이동 패턴과 일치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리플은 과거에도 유사한 방식으로 자산을 재배치해온 전례가 있다. 이러한 과정은 주로 유동성 공급을 위한 준비, 기관 고객 대상 결제 지원, 신탁 관리, 또는 자체 ODL 인프라 강화를 포함하며, 외부에서 보는 대규모 이동 현상이 명확한 목적 없이 이루어지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내부적인 일관된 구조로 진행된다.
이번 트랜잭션은 XRP 시장의 가격 변동성과도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며, 투자자들의 이목을 끈다. XRP는 최근 일주일 사이 7.8%가량 하락하며 1개당 2.84달러(약 3,948원)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는 이달 초 기록한 3.4달러(약 4,726원) 대비 눈에 띄는 하락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 거래에 사용된 XRP 규모는 일부 중형 거래소의 일일 거래량의 3분의 1 수준에 해당하는 만큼, 향후 가격 움직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현재 차트 상에서는 XRP가 2.80달러(약 3,892원)의 지지선을 시험하고 있는 상황이다. 만약 이 지지선을 유지할 수 있다면 다시 3.20달러(약 4,448원)에서 3.40달러(약 4,726원) 구간으로의 회복 가능성이 열리겠지만, 하락할 경우 2.40달러(약 3,336원)에서 2.50달러(약 3,475원) 수준까지 밀릴 수 있어 투자자들에게 주의가 요구된다.
향후 며칠에서 몇 주 사이, 리플이 추가적인 트랜잭션을 준비하고 있는지 여부와 XRP 가격이 더욱 하락할 것인지가 시장의 주요 관심사가 될 예정이다. 이번 사례는 리플의 자산 운용 방식이 암호화폐 유동성에 얼마나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