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라나(Solana) 기반의 탈중앙화 거래소인 메테오라(Meteora)가 최근 카니예 웨스트(Kanye West)의 밈코인인 ‘YZY’로 인해 단 하루 만에 약 2,230만 달러(약 310억 원)의 수수료 수익을 올렸다. 이와 같은 수익 기록은 암호화폐 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으며, 메테오라는 8월 21일 하루 동안 총 거래량 11억 8,200만 달러(약 1조 6,468억 원)를 달성하여 솔라나 생태계 DEX 중 가장 높은 활동량을 기록했다.
이와 같은 급증세는 YZY 토큰에 의해 촉발된 ‘밈코인 열풍’과 관련이 깊다. 카니예 웨스트가 출시한 이 토큰은 그의 팬층과 투기적인 자본의 몰입을 자극하며 메테오라에서의 유동성과 거래 활동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이러한 단기적인 이익은 유명인 기반의 토큰이 가지는 구조적 한계를 드러내고 있으며, 실제로 시장 조작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업체 산티먼트(Santiment)의 보고서에 따르면, YZY의 시장 가치가 하루 만에 30억 달러(약 4조 1,700억 원)를 기록한 이후 60% 이상의 폭락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지갑의 대량 매수가 일반 투자자들보다 현저히 낮은 가격으로 이루어진 정황도 드러났으며, 이는 투기성이 혼재된 시장 환경을 상기시킨다. 디파이 추적 사이트 디텍티브(Dethective)는 이와 관련하여 리브라(LIBRA) 밈코인에서도 유사한 방식으로 이득을 취한 기록이 있다고 밝혔다. 해당 지갑에서 총 2,300만 달러(약 320억 원)에 달하는 수익을 얻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이러한 사태는 카니예 웨스트가 과거 ‘밈코인은 팬들을 활용한 사기’라는 회의적인 발언을 한 것과 대조된다. YZY 출시는 그의 입장을 완전히 뒤집었고, 이러한 행보는 시장에 큰 파장을 미쳤다. 진입한 일반 투자자들 중 다수는 큰 손실을 겪으며 이슈는 더 큰 논란으로 번졌다.
이번 사건은 유명인들이 주도하는 암호화폐 프로젝트의 복잡성을 다시 한 번 드러냈다. 단기적으로 거래소의 수익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이러한 구조적 투명성과 투자자 보호 장치가 부족한 상황에서는 ‘내부자 거래’와 같은 논란이 반복될 수 있다. 메테오라의 사례는 어떻게 새로운 거래소가 시장에서의 위상을 차지해 나가는지를 보여주며, 동시에 밈코인 열풍의 불확실성과 위험성을 경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