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알래스카에서 회담을 가진 이후 우크라이나의 휴전 협상이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번 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영토 일부 양보를 대가로 미국과 서방의 안전보장을 확실히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한반도식 휴전’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미군의 우크라이나 주둔에 반대하는 입장을 고수하면서 휴전 협상이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
우크라이나는 한국전쟁 이후 설정된 휴전선과 비무장지대 설치를 포함한 다국적군의 파병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식 완충지대 개념과 유사하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미군의 주둔 반대 의사를 분명히 하며, 최소한의 안전보장만 제공하겠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그는 지난 19일 인터뷰에서 “미군이 어떤 상황에서도 우크라이나에 발을 디디지 않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이로 인해 휴전 합의가 이루어지더라도 우크라이나의 안보는 사실상 유럽 국가들이 떠안아야 할 상황에 놓일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유럽 국가들은 만약 휴전 합의가 성사되면 ‘안심군’이라고 불리는 약 3만 명 규모의 다국적군을 파견하겠다고 발표하였다. 프랑스와 영국은 우크라이나의 하늘과 바다를 보호하며 재건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강조하면서도, 미국의 군대 주둔이 확정되지 않으면 안보 유지에 큰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우크라이나가 원하는 장기 주둔 평화유지군은 미국과 유럽 연합 국가들로 구성된 한반도식 분단 방안이다. 우크라이나는 초기에는 어떤 조건에서도 영토를 포기하지 않겠다고 고수했으나, 미국과 유럽의 안전보장만 확보된다면 이를 수용할 의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BBC는 푸틴 대통령이 동부 영토를 더 넘겨받는 대신 다른 지역의 전선은 현재 상태에서 동결하여 휴전할 것을 제안했다고 보도했다.
이러한 한반도식 분단방안이 현실화될 경우, 우크라이나와 유럽 국가들은 러시아의 추가적인 군사적 확장을 억제하고, 재건 노력을 집중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현재 러시아가 점령하고 있는 우크라이나 영토의 20%를 두고 세력 확장을 제한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시나리오”라며, 한국전쟁 이후 남한이 미군을 포함한 여러 군대의 도움을 받은 것을 언급했다.
하지만 러시아 측은 서방의 평화유지군 주둔에 강력히 반대하며, 알래스카 회담에서 평화협정의 전제조건으로 서방 군대의 주둔 불가를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푸틴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가입 반대 입장을 유지하며, 우크라이나 군력의 제한을 주장하고 있다.
결국 우크라이나는 미국과 서방의 안전보장이 확실하지 않다면 3자 회담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밝혔으며, 젤렌스키 대통령은 각국의 역할에 대한 합의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협상이 무산될 경우 전쟁이 더 길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으며, 제이크 설리번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이러한 상황이 러시아에게 전쟁 지속의 기회를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