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최근 미국 반도체 기업인 인텔과 지분 10% 인수를 위한 합의를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반도체법에 따른 보조금 지급을 대가로 이루어진 거래로, 트럼프 대통령은 향후 이러한 유사한 거래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2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개최된 국제축구연맹(FIFA) 북중미 월드컵 조추첨 일정 발표 행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인텔이 미 정부에 10%의 지분을 이전하는 데 동의했음을 강조하며, “우리는 이와 같은 거래를 자주 해왔다”라고 언급했다. 그는 “이런 거래를 계속할 것”이라고 덧붙이며 향후 비슷한 거래를 통해 미국의 반도체 산업에 대한 지원을 지속할 의지를 피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립부 탄 인텔 CEO와의 면담 내용을 소개했다. 그는 탄 CEO가 회사를 지키기 위해 약 100억 달러에 달하는 가치의 인텔 지분 일부를 포기하기로 했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이러한 결정은 인텔이 미국 정부의 지원을 받고, 해당 보조금의 대가로 인세타익스를 확보하기 위한 의도를 반영하고 있다.
이번 발표로 인해 삼성전자와 같은 한국 기업들이 미국 내 반도체 설비 투자에 대한 보조금을 수령하는 과정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그들의 지분 확보에 나설 가능성에 대한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지난 19일에 반도체법에 따른 보조금을 사용하여 인텔의 지분 확보를 시도하고 있다고 발언한 바 있다.
하지만 월스트리트저널(WSJ)의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다른 대형 업체들에 대해서는 지분 확보를 추진할 계획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러한 접근은 반도체법의 지원을 받는 외국 기업들도 포함되고 있으며, TSMC와 삼성전자 등의 기업들이 이러한 지분 확보의 대상이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는 지난 12월, 반도체법에 따라 TSMC, 마이크론, 삼성전자에게 각각 66억 달러, 62억 달러, 47억5000만 달러의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러한 보조금은 해당 기업들이 약속한 미국 내 투자 프로젝트의 규모에 비례하여 지급될 예정이다. 다시 말해, 프로젝트의 이행에 따라 보조금 집행이 차등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새로운 정책 방향성은 많은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인텔과 트럼프 행정부의 거래는 반도체 산업뿐만 아니라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중대할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의 추세에 따라 다양한 기업들이 그 대응을 고민해야 할 시점에 놓여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