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인텔 지분 인수 공식화 “미국 정부가 전체 소유 및 통제”

[email protected]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인텔의 10% 지분 인수 사실을 공개하며 미국 정부가 인텔을 “온전히 소유하고 통제하게 됐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 미디어인 트루스소셜에서 “미국이 이제 더욱 놀라운 미래를 가진 위대한 기업 인텔의 10% 지분을 완전하게 소유하고 통제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고드리게 되어 큰 영광”이라고 표현했다.

이번 지분 인수로 미국 정부는 인텔의 최대 주주가 되었다. 이전 최대주주였던 블랙록은 8.92%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었지만, 이제 두 자리 수의 지분을 확보한 미국 정부에 자리를 양보하게 되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거래가 인텔의 최고 경영자인 립부 탄과의 협상에 의해 성사되었으며, 미국 정부는 이 지분에 대해 금전적 지불 없이 약 110억 달러(약 15조 원) 상당의 지분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텔의 역할이 미국 미래의 근본을 이루고 있다고 강조하며, “인텔이 만드는 최첨단 반도체와 집적회로는 우리나라의 미래에 필수적이다. 다시 미국을 위대하게 만들자”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인수는 미국 정부가 반도체 관련 법안인 칩스법에 따라 인텔에게 주기로 한 보조금의 반대 급부로 해석된다. 인텔이 약속한 대미투자계획이 불확실해진 상황에서, 미국 정부는 이를 감안하여 지분 인수를 요구했고, 인텔은 이를 수용했다.

지난해 11월, 바이든 정부 시절 미 상무부는 인텔에 78억6500만 달러(약 10조9000억 원)의 보조금을 지급하겠다고 발표했으며, 인텔은 전체적으로 총 109억 달러의 정부 지원금을 받게 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인텔의 지분 확보를 위한 단계적인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열린 FIFA 북중미 월드컵 관련 행사에서도 이번 인수 건을 소개하며, “우리는 앞으로도 그와 같은 거래를 많이 할 것이다”라고 예고했다. 이는 삼성전자, 마이크론, TSMC와 같은 기업들이 대미 반도체 설비 투자와 관련하여 어떤 영향을 받을지를 두고 업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와 동시에, 외국 기업에 대한 지분 인수 가능성에 대해선 신중한 분석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최근 트럼프 행정부가 보조금을 지급받는 기업들의 지분을 확보하는 방안을 검토하지만, 미국 내 대형 업체들에 대해서는 지분 확보를 추구하지 않을 것이라는 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했다.

결국,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인텔 지분 인수는 미국 내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정부의 기술 투자 방향성을 다시 설정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분석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