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심 니콜라스 탈레브(Nassim Nicholas Taleb), 레바논 출신의 미국 학자이자 베스트셀러 작가는 인공지능(AI)의 영향을 의료 교육 분야에 대한 견해를 밝혔다. 그는 ‘블랙스완’과 ‘안티프래질’의 저자로 명성을 떨친 인물로, 사회 시스템에 대한 비판적 시각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X(구 트위터)를 통해 탈레브는 AI가 의사 직업을 대체하기보다는 의료 교육 방식을 혁신할 것이라는 주장을 하며, 특히 독학 학습자들에게 학습 기회를 더욱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탈레브는 “AI는 현재 실행력보다는 교육 분야에서 더 강력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언젠가는 의료대학 자체를 대체할 가능성도 있다”고 경고했다. 이러한 발언은 전통적인 자격 요건을 넘어서는 대안적 교육 경로의 출현 가능성을 시사하며, 의료 분야의 올바른 교육 기회를 제시하는 데의 책임을 다할 것이라 기대했다.
AI 기술은 이미지 분석, 데이터 해석, 진단 보조 등 다양한 의료 환경에서 이미 활발히 적용되고 있으며, 그 활용도가 급증하고 있다. 의료 분야는 복잡성과 고도의 책임이 요구되는 분야인 만큼, 당장 자동화 기술이 아닌 실습과 이론 교육 방식에 AI가 처음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는 그의 분석은 설득력을 갖는다. 특히 그가 언급한 ‘오토다이닥트(autodidact)’라는 개념은 전통 교육 기관 대신 디지털 지식 플랫폼을 통해 자율적으로 학습하는 현대의 학습자들을 의미한다.
탈레브는 AI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관점을 유지하고 있으나, 비트코인(BTC)에는 여전히 강경한 비판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한때 비트코인의 탈중앙적 속성을 높이 평가하며 유기적 통화라고 칭했지만, 2021년 이후 그는 비트코인을 “종양”이라 부르며 개념을 완전히 변경했다. 그는 최근 비트코인을 “기술적 튤립”으로 비유하며, 이는 17세기 네덜란드에서 발생한 튤립 버블을 염두에 두고 한 발언이다. 이로 인해 그는 비트코인에 대한 과도한 기대와 비이성적인 투기에 대한 경고를 전달하면서 반대 의견을 목소리에 담고 있다.
소프트웨어 기업 블랙록의 래리 핑크나 마이크로스트래티지의 마이클 세일러와 같은 인물들이 비트코인에 긍정적인 태도를 드러내는 것과 대조되는 그의 입장은 많은 이들에게 인상 깊게 남는다. 탈레브의 이러한 이중적 관점은 인류와 기술이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대한 복합적인 이해를 잘 보여준다. 그는 기술 자체보다 어떻게 그 기술이 사회에 통합되고 활용되는지가 중요하다고 하고 있다.
탈레브의 예측이 실제로 얼마나 현실화될지는 아직 불분명하지만, AI가 교육 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점차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고 있다는 사실이 뚜렷해지고 있다. 그는 인류 교육의 방식에 큰 변화를 가져올 이 혁신이 어떻게 진행될지를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기술적인 진보뿐만 아니라, 인류의 미래 방향성을 고려한 큰 그림에서의 변화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