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XRP), 시가총액 250조 원 돌파로 글로벌 100대 자산에 등록

[email protected]



리플(XRP)의 시가총액이 약 1,800억 달러, 즉 250조 2,000억 원을 초과하며 글로벌 상장 자산 중 시가총액 기준 상위 100대 자산에 진입했다.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에 이어 암호화폐 업계에서 세 번째로 이 클럽에 이름을 올린 것이다. 이번 성과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기업들인 아도비, 화이자, 스포티파이 등을 제치며 리플의 위상이 얼마나 높아졌는지를 잘 보여준다.

XRP는 최근 1년 동안 강력한 반등세를 기록하며 가격과 가치 모두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나타냈다. 미국 대선 직후인 지난해 말에는 0.6달러(약 830원) 아래에서 머무르고 있었으나, 여러 차례 주요 저항선을突破하고 지난 7월 중순에는 사상 최고가인 3.65달러(약 5,074원)를 기록했다. 현재 가격은 약 3달러(약 4,170원)로 소폭 조정되었지만, 여전히 안정적인 고점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급등세의 배경에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의 장기적인 법적 분쟁이 사실상 종료 국면에 접어든 점이 큰 영향을 미쳤다. 최근 2심 법원에서 양측의 ‘기각 합의안’이 승인되면서 소송이 마무리될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다. 시장은 이를 규제 리스크 해소 신호로 해석하며 XRP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리플은 사업적으로도 의미 있는 성과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말에는 기관투자자를 위한 스테이블코인 RLUSD를 도입했으며, 프라임 브로커리지 기업인 하이든로드(Hidden Road)를 12억 5,000만 달러(약 1조 7,375억 원)에 인수하는 등 공격적인 확장을 추진했다. 이러한 전략적 움직임은 XRP 네트워크의 성장을 이끌며, 기관 투자자들의 채택도 급증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특히, 최근에는 여러 기업들이 전략적 준비금으로 XRP를 도입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기관 수요가 본격화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업계 일부에서는 현물 기반 XRP ETF 승인의 가능성 또한 조심스럽게 점쳐지고 있다. 이미 미국 내에서는 XRP 기반 선물 ETF가 여러 차례 승인된 바 있으며, 현물 ETF 관련 신청서도 SEC 지침에 맞춰 업데이트되고 있는 중이다.

리플의 XRP는 이제 도이치텔레콤, 쇼피파이, 커먼웰스은행과 같은 글로벌 대기업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되었다. 이러한 성과는 단순한 토큰 가격 상승을 넘어, 암호화폐가 전통 자산 시장 내에서 어느 수준까지 도달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주는 지표로 평가된다. XRP의 성장은 향후 다른 암호화폐 프로젝트들에게도 중요한 이정표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