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는 디지털 시대의 빠른 변화에 발맞추어 내년부터 편지 배달 서비스를 전면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덴마크의 국영 우편사인 포스트노르드는 올해 말로 400년의 역사를 가진 편지 배달 기능을 종료한다고 발표했다. 이 결정은 과도한 우편물 감소와 함께 구조적인 변화를 요구하는 경제적 배경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편지 발송량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현상은 덴마크만의 문제가 아니다. 2000년에 연간 14억 통에 달했던 덴마크의 우편물 발송량은 지난해 1억1000만 통으로 급감하여 92%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글로벌하게 전통 우편 서비스가 전자 문서와 택배 물류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포스트노르드는 이러한 급격한 변화를 반영하여 약 2200명의 직원을 감축하며, 동시에 소포 물류 부문에서는 700명을 새로 고용할 계획이다.
덴마크는 유럽 국가들 중에서도 디지털 행정이 가장 발전한 나라로 꼽힌다. 2023년 OECD의 디지털 정부 평가에서 덴마크는 한국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는 전자 문서 사용과 온라인 행정 서비스의 신속한 정착 덕분으로, 최근 우편 시장이 민간에 개방되면서 우편요금이 급등한 것도 한몫했다. 현재 덴마크에서 편지를 보내기 위한 요금은 29덴마크크로네(약 6300원)로, 이는 매우 높은 수준이다.
전 세계적인 우편 감소 추세는 독일, 스위스, 미국, 영국 등 여러 국가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맥킨지 보고서에 따르면, 독일과 스위스의 우편물 처리량은 2000년대 초반에 비해 40% 줄어든 반면, 미국은 46%, 영국은 50%에서 70%까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제적 여건 속에서 독일 도이체포스트는 8000개의 일자리를 감축했고, 50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영국 로열메일은 비용 절감을 위해 정기 배달 횟수를 줄이기로 결정했다. 한국도 유사한 상황으로, 우편사업 부문에서 2000억원대 손실을 예상하고 있다.
덴마크의 편지 배달 서비스 종료는 기후 변화와 팬데믹 같은 외부 요인들로 인해 전통적인 우편의 입지가 점점 줄어들고 있는 세계적 흐름에서 기인하는 변화의 일환이라 할 수 있다. 향후 민간 배송 업체가 개인 간의 편지 배달을 맡게 됨에 따라, 전통적 우편 서비스의 운영 방식도 크게 변화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덴마크에 국한되지 않고, 유럽 전역을 포함한 세계 각국에서 비슷한 양상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