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저명한 경제학자 해리 덴트가 비트코인과 나스닥, 그리고 엔비디아와 관련하여 심각한 시장 조정을 예고했다. 덴트는 최근 로버트 기요사키의 유튜브 채널 ‘부자 아빠’에 출연해 현재 시장의 차트가 과거 붕괴 이전의 패턴과 유사하다고 분석했다. 그는 “현재 경제가 기술과 인공지능(AI) 암호화폐 자산에서 급격한 성장을 이룬 상황에서도 차트가 침체 이전 마지막 단계의 패턴을 보이고 있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덴트는 비트코인, 나스닥 100, 그리고 엔비디아가 현재 상승세에 있긴 하지만 하락 추세선 내에 위치해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러한 기술적 조건은 역사적으로 급격한 조정이 발생하기 전에 나타나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그는 “엔비디아가 향후 1~2%의 상승 가능성이 있지만, 이러한 상승장이 지속 가능하지 않으며 전반적인 기술주 조정은 피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덴트는 암호화폐 시장도 이런 영향을 피하지 못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최근 비트코인이 11만 5000달러, 이더리움이 4300달러에 도달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제학자는 위험 자산의 불안정성이 확대되면 암호화폐에서 자금이 빠져나갈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그는 “암호화폐의 혁신 잠재력은 인정하지만, 현재 단계에서는 변동성이 불가피하다”라고 말했다. 이러한 시장 조정은 과도한 투기를 줄이고 향후 몇 년간의 실질적인 성장 사이클을 위한 정화 과정을 예고한다고 설명했다.
로버트 기요사키 또한 덴트의 분석에 동조하며 투자자들에게 ‘역사상 가장 큰 경제 폭락’에 대한 경재망 후 시장의 변화에 대비할 것을 촉구했다. 기요사키는 “투자자들은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해 금과 은 같은 실물 자산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라고 경고했다.
실제로 금과 은은 올해 초부터 각각 28%와 29% 상승하는 성과를 보였다. 기요사키는 덴트가 제시하는 주식 및 암호화폐 시장의 폭락이 발생할 경우 이러한 실물 자산들이 안전 자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발언했다. 그러나 덴트는 지난해 6월에도 비슷한 예측을 하며 모든 자산이 조정받을 것임을 경고한 바 있다. 그는 “현재의 거품이 과거보다 더 오래 지속되었으며, 하락폭도 예상보다 클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 조정 기간이 2025년 초부터 중간 사이에 시장 바닥을 형성할 가능성이 크며, S&P 500 지수와 나스닥, 엔비디아 등이 각각 고점 대비 86%, 92%, 98% 하락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러한 전망에 대해 투자자들은 심각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