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충 청소하면 큰일 난다”…휴대폰 청소, 올바른 방법은 무엇인가?

[email protected]



스마트폰은 하루에도 수십 번 사용되며, 이에 따라 많은 세균과 바이러스가 서식하는 ‘세균 온상’으로 알려져 있다. 익히 알려졌듯이, 연구에 따르면 스마트폰 화면에는 화장실 손잡이보다 더 많은 세균이 존재한다고 한다. 그런데도 많은 사용자가 잘못된 청소 방법으로 인해 기기를 손상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휴대폰을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청소 방법을 알고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휴대폰을 잘못된 방식으로 청소하면 기기에 점진적인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스마트폰 화면은 지문과 얼룩을 줄이기 위해 얇은 보호막인 ‘발유막’으로 코팅되어 있다. 그러나 높은 농도의 알코올이나 강력한 화학 성분인 염소계 표백제, 식초 등을 사용할 경우 이 보호막이 손상되어 화면이 쉽게 오염되고 터치 감도도 저하될 수 있다. 특히 애플과 삼성 같은 제조사들은 고농도의 알코올(70% 초과), 과산화수소, 강산성 세정제 등의 사용을 금하고 있으며, 이는 외관 뿐 아니라 내부 회로에도 장기적인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고 경고한다.

그렇다면 안전하고 효과적인 청소 방법은 무엇일까? 우선 스마트폰을 끄고 모든 충전 케이블과 케이스, 액세서리를 제거해야 한다. 이후 농도 70%의 이소프로필 알코올로 적신 물티슈나 극세사 천을 사용해 화면과 외관을 부드럽게 닦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보다 높은 농도의 알코올은 오히려 보호막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하며, 청소할 때 액체를 직접 분사하는 것은 절대 금물이다. 충전 단자나 스피커 홀에 액체가 스며들게 되면 합선이나 부식 등의 치명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방수 기능이 있는 기기라도 장시간이나 잦은 세정액 접촉은 방수 실링 성능을 저하시키므로 조심해야 한다.

청소의 주기에 대해서도 주의가 필요하다. 지나치게 자주 청소하는 것은 오히려 보호막을 빨리 마모시켜 지문이나 얼룩이 더 잘 생길 수 있다. 일반적인 상황이라면 주 1회 정도의 정기적인 관리가 적당하며, 지하철, 병원, 체육관과 같은 세균이 많이 노출되는 장소를 자주 방문할 경우 청소 주기를 단축하는 것이 좋다.

휴대폰 청소는 단순히 위생을 위한 것이 아니라 내구성과 경제성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수백 종의 세균과 바이러스가 서식할 수 있는 스마트폰은 오랜 사용 시 사용자에게 건강 위험을 줄 수 있다. 또한, 보호막이 손상된 화면은 충격에 취약해져 쉽게 금이 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수리비도 상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전문가들이 제안하는 올바른 관리 방법을 숙지하여 제품 수명을 연장하고 교체 주기를 늦추는 것이 중요하다.

결론적으로, 휴대폰 청소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적 요소로 자리 잡았다. 사용자들은 위생, 내구성, 경제성을 모두 고려하여 올바른 청소 방법과 주기를 지켜야 할 것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