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비트코인 자문, “비트코인 약세장이 끝났다”…기관 자금 유입 기대감 고조

[email protected]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비트코인 지지 행보에 깊이 관여했던 인물인 비트코인 매거진의 창립자 데이비드 베일리가 최근 비트코인의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내비쳤다. 그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인 X(구 트위터)를 통해 “비트코인(BTC)의 약세장은 수년간 오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을 하며, 기관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과 수요가 현재 증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베일리는 “이번이 역사적으로 첫 번째로 기관 투자자들이 진정한 의도를 가지고 시장에 체계적으로 참여하기 시작한 순간”이라고 언급하며, 국가 정부, 주요 은행, 보험사, 대기업, 연기금 등을 포함한 다양한 투자자들이 비트코인을 보유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특히 비트코인의 현재 가치가 시장의 총 잠재력(TAM)의 0.01%도 채 미치지 않았다고 강조하며, 향후 비트코인 가격의 상승 여력은 매우 크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러한 낙관적인 전망에 반해 많은 암호화폐 전문가들은 여전히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업계에서는 비트코인 가격이 4년 주기 이론에 따라 움직일 것이라는 예측과 함께, 기술적 조정이나 거시경제 환경의 변화로 인해 하락세가 지속될 가능성도 높다고 경고하고 있다. 코인텔레그래프와의 인터뷰에서 일부 전문가들은 규제 리스크, 금리 정책 변화, 채굴 난이도 조정 등의 여러 요인을 비트코인 상승의 주요 장애물로 지목했다.

과거에는 베일리가 기관 투자들이 “미미한 소규모 시도에 지나지 않는다”고 진단했던 반면, 지금은 시장의 분위기가 완전히 변화했음을 시사하고 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비트코인 정책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 인물로 알려져 있으며, 트럼프의 대선 캠페인 당시 비트코인 고문 역할을 담당했고, 공화당 내에서 암호화폐 우호 정책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전략가로 활동해왔다.

비트코인(BTC)의 가격이 언제 정체를 깨고 상승으로 전환될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 주변 인사들까지 비트코인을 장기 자산으로 확신하는 모습이 포착됨에 따라, 기관 자금 유입과 정식 금융 시스템으로의 진입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흐름은 암호화폐 시장의 안정성과 성장 가능성을 높이며, 기관 투자자들이 비트코인에 대한 접근을 더욱 넓히는 데 기여할 것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