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재무장관이 암호화폐의 역할을 포트폴리오 내 분산 투자 자산으로 강조하면서, 일본이 디지털 자산 수용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가토 가쓰노부 재무장관은 최근 공식 발언에서 암호화폐는 높은 변동성을 가지고 있지만 ‘적절한 투자환경’이 마련된다면 분산 투자 수단으로서 유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발언은 암호화폐가 단순한 투기 대상이 아닌 실질적인 자산군으로 인정받아야 한다는 강력한 메시지로 해석된다.
이 같은 발언은 여당인 자유민주당(LDP)의 정책 방향과도 일치한다. 자민당은 암호화폐로 인한 이익에 대해 분리과세 체계를 도입할 것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기존 최대 55%의 누진세를 대체하여 20%의 단일세율을 적용할 계획이다. 이러한 개정안이 실제로 시행된다면 일본 내 개인 투자자들의 암호화폐 투자 참여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자민당은 암호화폐 산업 전반에 대한 제도적 신뢰를 강화하기 위해 내부자 거래 금지 규정 도입도 검토하고 있다. 이는 암호화폐 시장에서 종종 발생했던 해킹과 사기 사건에 대한 후속 조치의 일환으로, 민감한 정보가 사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차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일본은 이미 세계에서 가장 엄격한 암호화폐 규제를 갖춘 나라 중 하나로, 이러한 규제 강화는 시장 안정성의 기초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 정부가 암호화폐를 보다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배경에는 전 총리 기시다 후미오의 디지털 경제 강화 정책이 있다. 그는 웹3 생태계 육성과 기술 인재 확보를 핵심 정책으로 내세워왔으며, 재무부도 이러한 방향성을 반영하여 규제 개선에 나서고 있다.
한편, 일본의 대표적인 비트코인 보유 기업인 메타플래닛(Metaplanet)은 최근 글로벌 FTSE 재팬 지수에 새로 편입되었다. 이로 인해 해당 기업은 제도권 투자자로 인정받았으며, 암호화폐를 보유한 기업에게 성장 가능성을 부여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메타플래닛은 최근 비트코인을 추가로 1,170만 달러 규모로 매입하여 현재 총 보유 규모가 약 20억 달러에 이르고 있다. 이는 일본의 기관 투자자와 기업들이 암호화폐를 점차적으로 금융 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번 일본 정부의 움직임은 아시아를 넘어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제도화된 환경에서 안전한 투자 기반이 마련된다면, 일본은 아시아 디지털 자산 시장의 핵심 허브로 다시 부상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의 암호화폐 제도화는 국제적인 투자자들에게도 긍정적인 시그널을 줄 것이며, 이는 일본 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기회로 작용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