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보안 분석 기업에서 ‘코인베이스 해커’로 지목된 지갑 주소가 약 110억 4,000만 원, 즉 8백만 달러 상당의 솔라나(SOL)를 매입한 정황이 포착됐다. 이 자금은 코인베이스 사용자들이 도난당한 것으로 보이는 자금에서 나온 것으로 의심되고 있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 플랫폼 룩온체인(Lookonchain)에 따르면, 해당 해커 지갑은 스테이블코인인 다이(DAI)를 USD코인(USDC)으로 교환한 후, 이를 사용해 솔라나 네트워크로 브릿징하여 총 38,126 SOL을 구입한 것으로 분석됐다. 당시 거래 가격은 개당 약 209달러에 이르렀고, 현재 솔라나의 시장가는 약 202.15달러로 하락하여 해커는 장부상 손실을 보고 있는 상황이다.
룩온체인은 이 지갑이 코인베이스에서 탈취된 4,170억 원, 즉 3억 달러 이상의 암호화폐 자산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다. 블록체인 분석 플랫폼 아캄(Arkham) 또한 이 지갑을 ‘코인베이스 해커’로 동일하게 지정하고 경각심을 고조시키고 있다.
이 사건은 해킹 자산의 추적과 자금 세탁에 대한 우려를 다시 한번 부각시키는 계기가 되고 있으며, 특히 대형 거래소 해킹으로 인한 영향이 장기화할 가능성에 대한 전망도 강화되고 있다. 암호화폐 업계에서는 해당 지갑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추가적인 추적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현재 코인베이스 해킹 사건은 보안 문제와 사용자 신뢰에 큰 타격을 주고 있으며, 해커들은 정확한 송금 경로를 피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서 자산 보호와 해커 추적에 관한 신뢰를 구축하기 위한 조치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향후 이 사건의 진전과 더불어 해킹 방지 기술의 발전 여부가 주목받고 있으며, 암호화폐 생태계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해결책들이 논의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