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이하 ‘케데헌’)가 북미 지역에서 이틀간의 특별 상영을 통해 약 1800만 달러에서 2000만 달러, 즉 약 280억 원의 수익을 기록하며 박스오피스 1위에 올랐다. 정식 극장 개봉 없이도 상영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매우 이례적인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23일과 24일에 진행된 이번 ‘싱어롱’ 스페셜 상영 이벤트는 잊지 못할 관객과의 소통을 통해 감동을 전하며, 그 결과 북미 1700여 개 극장에서 상영되었고, 이 중 1000개 이상의 상영관에서 티켓이 매진되는 진풍경을 연출했다. 영화의 인기를 높인 요소 중 하나는 관객들이 영화에 함께 참여하며 노래하고, 춤추고 복장을 꾸미는 색다른 경험을 제공한 것이었다.
영화 ‘케데헌’은 지난 6월 넷플릭스에서 스트리밍으로 공개된 이후, 국내외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이어오고 있다. 이번 특별 상영은 넷플릭스가 북미 관객의 요청에 따라 기획한 것으로, 가족용 콘텐츠인 이 작품이 극장의 주요 스테디 셀러와 비교해도 손색없는 수준의 성과를 이뤄냈다는 점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영화 컨설팅 회사 프랜차이즈 엔터테인먼트 리서치의 분석가 데이비드 그로스는 “이번 주말 동안 관객들이 노래하고 춤추며 즐겨 있는 모습이 매우 인상적이었다”며 “이는 팝 엔터테인먼트의 진수를 보여준다”고 언급했다.
미국 각종 언론 매체들도 ‘케데헌’의 열풍에 주목하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케데헌이 모든 이의 머리를 흔들게 하고 있다”는 기사를 통해 작품의 이례적인 인기를 조명했고, 월스트리트저널, 타임지, 포브스, 할리우드리포터와 같은 주요 매체들도 열띤 반응을 보였다. 이렇듯 ‘케데헌’은 단순한 애니메이션 작품이 아닌 문화 현상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각종 미디어가 인식하고 있다.
또한 ‘케데헌’의 성공은 한국 관광 산업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영화 속 배경인 남산, 북촌, 한강, 국립중앙박물관 등 서울의 명소들이 외국인 관광객들로 북적이고 있으며, 한국 전통 동물인 호랑이와 까치 캐릭터 상품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케데헌은 K-POP이 음악 산업을 넘어 글로벌 콘텐츠와 관광 산업으로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케데헌은 현대 케이팝 문화와 한국 전통 설화가 결합된 독창적인 세계관으로 이미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역사상 가장 높은 흥행 기록을 세우며 세계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영화의 메인 OST인 ‘골든(Golden)’은 미국 빌보드 ‘핫100’ 차트에서 1위를 기록하는 등 뚜렷한 성과를 내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넷플릭스는 K-콘텐츠의 힘을 더욱 확고히 하고 있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