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짝퉁’ 스타벅스와 이케아, 이용객들의 생생한 증언

[email protected]



북한에서는 스타벅스를 모방한 ‘미래 리저브’와 이케아를 닮은 쇼핑몰들이 운영되고 있으며, 해외 방문객들은 이를 통해 고립된 북한에서 외부 소비문화를 모방하는 색다른 모습을 발견했다. 24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의 보도에 따르면, 최근 북한을 방문한 러시아 관광객과 스웨덴 마라톤 선수, 그리고 중국 학생의 경험을 통해 청정 국가 북한의 숨겨진 소비 문화가 수면 위로 드러났다.

방문객들은 평양의 ‘랑랑 애국 금강관’이라는 다층 쇼핑몰을 ‘북한판 이케아’로 칭했다. 이곳에서는 가구, 주방용품, 그리고 식료품이 판매되고 있으며, 매장 구조와 제품이 이케아의 그것과 유사하다는 설명이다. 과연 이 제품들이 진품인지 가짜인지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남아 있지만, 일부 품목은 이케아의 제품 포장과 품명 그대로인 것으로 보인다. 이는 북한 내부에서 외부 소비문화가 어떻게 확산되고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또한, 이 쇼핑몰 내에는 스타벅스의 프리미엄 카페인 스타벅스 리저브의 꼭닮은 ‘미래 리저브’라는 카페가 있다. 이 카페는 스타벅스 리저브 로고의 별을 ‘M’으로 변형한 독창적인 디자인이 주목받고 있다. 한 중국 학생은 이 카페에서 3잔의 커피에 25달러를 지불했으며, 이는 북한의 물가가 비쌀 것이라는 인상을 주었다.

한편, 평양 마라톤에 참가한 스웨덴 거주자 요한 닐란더는 현지 상점에서 주로 휴대전화로 디지털 결제를 했다고 전했다. 심지어 간단한 노점상에서도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를 선호하는 현상을 목격했다고 덧붙였다. 이는 북한 주민들이 이미 많은 외국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앱, 예를 들어 동영상, 문자 메시지, 그리고 가장 흔한 방식의 쇼핑 앱을 사용하고 있다는 뜻이다.

또한, 최근 개장한 원산갈마해안관광지구를 방문한 러시아 관광객 다리아 주브코바는 이 리조트를 여행하면서 마치 그림 같은 풍경을 경험했다. 그녀는 이곳의 모든 시설이 새것처럼 보였고, 아름답게 꾸며진 경관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더불어 러시아인들이 이곳에서 제트 스키를 타고 바비큐를 즐기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모습은 북한에서의 여유로운 관광 문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NYT는 이 모든 현상이 북한이 국제 제재의 영향을 극복하고, 자본주의 문화를 모방하여 자금 마련에 나서고 있음을 강조했다. 이는 북한에서 외국 브랜드가 사치품을 매매하거나 합작 사업을 하는 것이 제한된 상황에서, 경제적 압박을 벗어나기 위한 시도로 해석된다.

결국, 북한 내 소비문화의 변화를 보는 것은 외부 세계와의 단절 속에서도 사람들의 욕망이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를 의미한다. 소비를 통해 과거와는 다른 북한의 모습을 이해하게 되는 기회를 갖게 된 것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