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여러 글로벌 금융 규제기관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크립토 태스크포스에 토큰화 주식의 확산을 저지할 필요성을 강조하는 공동 서한을 전달했다. 이들은 토큰화 주식이 실제 주식을 대체할 수 없으며, 투자자 보호 장치가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서한에는 유럽증권시장청(ESMA), 국제증권감독기구(IOSCO), 세계거래소연맹(WFE) 등 주요 금융 규제 기관들이 참여했다. 이들은 토큰화 주식이 전통적인 주식처럼 포장되어 판매되지만, 실제로는 전혀 다른 법적 권리와 보호 체계가 결여되어 있다는 주장을 했다. WFE는 로이터 통신에 “많은 브로커와 거래소가 토큰화된 미국 주식을 판매하거나 계획 중이며, 그로 인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서 “이 상품은 실제 주식과 동등하게 마케팅되지만, 실질적으로는 다르다”고 경고했다.
이 서한의 중요성은 서명 기관들이 갖는 위상에서도 드러난다. ESMA는 유럽연합의 주요 금융 감독 기관 중 하나이며, IOSCO는 국제적으로 증권 규제 기준을 제정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WFE는 세계 주요 거래소와 청산 기관들이 소속된 국제 단체로, 금융 인프라를 대표하는 기관이기도 하다. 이처럼 권위 있는 기관들이 한 목소리로 규제 강화를 요청하고 있는 배경에는 블록체인 기반으로 토큰화 주식이 효율적이고 비용 절감의 이점을 내세우며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현실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가상자산 투자사인 갤럭시 디지털, 멀티코인 캐피털, 점프 크립토 등이 솔라나 생태계를 확장하기 위해 10억 달러 규모의 자금을 모으고 있다는 소식도 전해지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들은 솔라나 중심의 디지털 자산 금고 기업 설립을 추진 중이며, 칸토 피츠제럴드를 주간사로 선정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자금은 공개 상장 기업 인수 등을 포함하는 공격적인 방식으로 운용될 예정이며, 솔라나 재단도 이 계획을 반갑게 맞이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솔라나는 시가총액 기준으로 여섯 번째로 큰 암호화폐다.
한편, 비트코인 가격의 하락도 시장의 주요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일요일 기준 비트코인은 112,174달러까지 하락했으며, 이 원인이 비트코인 고래들의 매도 때문이라는 분석이 있다. 유명 분석가인 윌리 우는 SNS를 통해 “오래 보유하고 있던 고래들의 매도는 시장 회복에 필수적인 신규 자본 유입의 부담을 증대시킨다”면서 “현재 비트코인 하나를 소화하는 데는 11만 달러 이상의 신규 자본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번 규제 논의와 기관들의 대규모 펀딩 추진, 고래 매도 문제는 크립토 시장 전반에 중대한 변곡점을 제공하고 있다. 이해당사자 간의 이견이 심화되는 가운데, 투자자들은 변화하는 규제 환경과 시장 분위기를 면밀히 살펴봐야 할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