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반도체 기업 인텔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지분 보유가 회사의 전반적인 사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인텔은 미국 정부의 투자 참여가 해외 매출 감소는 물론, 향후 보조금 확보 능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하며 리스크 요소가 있음을 강조했다.
인텔은 25일(현지시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공시를 통해 트럼프 행정부의 투자로 인한 여러 잠재적 문제를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22일 인텔의 보통주 4억3330만 주를 주당 20.47달러에 매입하기로 합의했으며, 총 투자 금액은 89억 달러로, 미국 정부의 지분율은 약 10%에 달할 예정이다. 이 투자액 중 57억 달러는 지급되지 않았던 반도체 지원법(CSA) 보조금에서 충당되며, 나머지 32억 달러는 보안 칩 생산을 위한 추가 지원금으로 조달된다.
인텔은 정부가 주요 주주로 참여하게 되면 해외 판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미국 정부가 지분을 보유하게 되면 해외에서 추가 규제를 받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현지 보조금 수령에도 제약이 생길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실례로, 인텔은 지난해 전체 매출의 76%를 해외에서 발생시켰으며, 그 중 중국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29%에 이른다.
또한, 이번 투자가 완료되면 미국 정부는 블랙록을 제치고 인텔의 최대 주주가 된다. 인텔은 정부가 보유하는 주식의 매입가격이 시장가보다 낮게 책정되어 기존 주주의 지분 가치가 희석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정부의 매입 가격은 주당 20.47달러로, 이는 지난 22일 종가인 24.80달러 대비 약 20%가량 낮은 수치이다.
인텔은 나아가 정부가 법률 및 규제 측면에서 강력한 추가 권한을 가지게 되면서, 회사의 의사 결정이 제약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주주 이익에 부합하는 거래 추진을 제한할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인텔은 또한 이 거래가 소송, 정치적 혹은 공적 감시에 따른 부담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워싱턴의 정치적 상황 변화에 따라 거래가 무효화될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합의를 “미국을 위한 위대한 거래”라 칭하며, 인텔의 립부 탄 최고경영자(CEO)도 이날 상무부가 공개한 영상에서 “정부가 주주가 되는 것을 매우 환영한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이러한 공감대 속에서도 인텔은 정부의 지분 보유가 기업 운영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강력히 주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