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채굴 및 보관 업체인 비트마인 이머전 테크놀로지스(BitMine Immersion Technologies, BMNR)는 현재 총 자산이 88억 2,000만 달러(약 12조 2730억 원)에 이르며, 이는 이더리움 1,713,899개, 비트코인 192개, 그리고 5억 6,200만 달러의 현금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밝혔다. 이 소식은 지난 8월 24일 오후 5시 30분(ET) 기준으로 발표되었으며, 비트마인은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이더리움을 보유한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비트마인의 이더리움 보유량은 단연 1위이며, 비트코인 전략을 주로 채택하고 있는 마이크로스트래티지(MSTR)에 이어 전 세계 암호화폐 보유 규모 기준 2위를 기록 중이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현재 비트코인 629,376개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약 710억 달러(약 100조 8,200억 원)의 가치를 지닌다.
비트마인은 지난 6월 30일(최종 마감 7월 8일)을 기점으로 ETH 트레저리 전략을 공식 시작한 이후, 약 6주 만에 여러 핵심 목표들을 달성해왔다. 펀드스트랫의 회장이자 비트마인의 의장인 토머스 리(Thomas “Tom” Lee)는 “지난 한 주 동안 비트마인은 암호화폐 및 현금 자산을 22억 달러(약 3조 1,200억 원) 늘려 총 88억 달러를 돌파했다”며, “이는 약 190,500개의 이더리움을 추가 확보한 결과”라고 전했다. 또한, 그는 ETH의 5%를 보유한다는 ‘알케미(Alchemy)’ 전략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기관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유치한 성과를 강조했다.
현재 비트마인의 주당 순자산가치(NAV)는 39.84달러로, 이는 7월 27일 당시의 22.84달러에서 크게 상승한 수치이다. NAV는 암호화폐와 현금 가치를 총 발행 주식 수(완전 희석 기준)로 나누어 산출되며, 현재 비트마인의 총 발행 주식 수는 2억 2,151만 5,180주에 달한다.
비트마인은 최근 미국 정부의 금융 규제 변화에 주목하고 있다. 리 의장은 “현재 논의 중인 GENIUS법과 SEC의 프로젝트 크립토는 2025년 금융 서비스 산업에 있어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이를 1971년 8월 미국이 브레튼우즈 체제를 폐기하고 금본위제를 종료했던 역사적인 금융 개혁에 비유했다. 그는 “현재 진행 중인 암호화폐 금융 인프라 개편은 월가의 디지털화를 가속화하는 전환점이며, 이더리움이 그 중심에 있다”고 분석했다.
리 의장은 또한 “이더리움은 향후 10~15년간 가장 매력적인 거시 경제 투자처가 될 수 있다”며, 인공지능(AI)과 블록체인 기술이 융합하는 시점에서 이더리움 기반 인프라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비트마인은 미국 내에서 가장 활발히 거래되는 주식 중 하나로 부상하고 있으며, 8월 24일 기준 최근 5거래일 평균 일일 거래금액은 28억 달러(약 4조 원)에 이르러, 이는 미국 상장 주식 5,704개 중 거래 대금 기준으로 20위에 해당한다. 코인베이스(Coinbase)보다는 한 단계 낮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지만, JP모건 및 팔로알토네트웍스보다는 높은 거래량을 자랑하고 있다.
이처럼 비트마인은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있으며, 최근 배포된 최신 기업 정보 프레젠테이션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웹사이트(bitminetech.io)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