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 공공부문 협력을 위한 ‘PwC 한-일 공공협력센터’ 출범

[email protected]



삼일PwC는 양국의 공공부문이 직면하고 있는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wC 한-일 공공협력센터’를 26일 공식 출범했다고 밝혔다. 이번 센터는 고령화, 지방 소멸, 디지털 전환, 기후 위기와 같은 복잡한 사회적 이슈에 대해 한국과 일본의 유용한 경험과 전문성을 결합하여 지속 가능한 공공 서비스 혁신과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려는 전략적 협력의 플랫폼이다.

일본 PwC의 G&PS(Government & Public Sector) 부서는 고령화 대응, 디지털 정부 전환 및 지역 개발 분야에서의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의 공공부문에 적합한 전략과 실행 방안을 공동으로 설계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삼일PwC는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정책 기획, 정책 실행, 디지털 전환, 재정 및 조직 혁신, 지역사회 지원, ESG 전략 수립 등 다양한 종합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특히, 공공협력센터는 증거 기반 정책 결정(Evidence-Based Policy Making, EBPM)에 입각한 정책 설계와 공공 서비스 혁신, 탄소 중립 전략 수립 등에서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노력은 양국의 공공정책 방향성을 재정립하고 발전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

센터의 운영은 총 9개의 중점 과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주요 과제에는 탄소중립 도시 전략을 포함한 ‘넷제로’,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지속 가능한 도시를 구현하는 ‘스마트시티’, 고령화에 대응하는 복지 정책을 다루는 ‘웰페어’, 대학 협력 기반 정책 제안 및 민관 협력 모델을 포함한 ‘공공 정책 이니셔티브’, 지방정부의 디지털 전환과 클라우드 인프라 최적화 등을 포함한 ‘디지털’ 전략 등이 포함된다.

이 외에도 수소 및 에너지 산업 전략과 기술 사업화를 포함하는 ‘산업 및 기술’, 병원 개발 전략과 의료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헬스케어’, 지방 인력난 해결과 리스킬링 플랫폼 구축을 위한 ‘인재역량전환’, 그리고 교통 관련 인프라 운영 전략을 포함한 ‘교통’ 과제가 포함되어 있다. 최근 발표된 국정기획위원회의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서는 국가 균형 성장 전략 및 AI 3대 강국 도약 목표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공공협력센터가 지방 산업 거점 조성과 AI 기반 공공 서비스 혁신의 협력 모델 개발에 집중할 예정이다.

Leave a Comment